본문 바로가기
구약/민수기

안교교과 QT(2/12,화) - 나팔의 의미(민 10:1-10)

by ☆★★★ 2019. 2. 12.
반응형

2019-1 장년교과 7과.pdf

▧ 오늘의 말씀 : 민수기 10:1-10

은나팔을 불라(1-8)

[1] <은나팔>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2] “은을 두드려 나팔 두 개를 만들어라. 그 나팔은 백성을 불러 모을 때와 진을 떠날 때 쓸 것이다.
[3] 두 나팔을 한꺼번에 불면, 백성을 회막 입구 네 앞에 모이게 하고,
[4] 나팔을 하나만 불면, 지도자들이 네 앞에 모이게 하여라.
[5] 두 나팔을 한 번만 불면, 동쪽에 진을 친 지파들이 이동하고,
[6] 두 번째로 나팔을 불면, 남쪽에 진을 친 지파들이 이동할 것이다. 그들은 나팔 소리를 듣고 이동할 것이다.
[7] 백성을 불러 모을 때도 나팔을 불어라. 그러나 똑같은 방법으로 불지는 마라.
[8] 나팔은 제사장인 아론의 아들들에게 불게 하여라. 이것은 너희가 지금부터 대대로 지켜야 할 규례이다.

전쟁 중에 나팔을 불라(9-10절)

[9] 너희의 땅으로 너희를 공격해 온 적과 싸울 때도 나팔을 불어라. 너희 하나님이신 여호와께서 너희를 기억해 주실 것이다. 여호와께서 너희를 원수에게서 구해 주실 것이다.
[10] 기쁜 날에도 나팔을 불어라. 절기 때와 매달 초하루에도 나팔을 불어라. 너희의 태워 드리는 제물인 번제물과 화목 제물 위에서 나팔을 불어라. 그러면 너희 하나님께서 너희를 기억해 주실 것이다. 나는 너희 여호와 하나님이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하나님께서는 왜, 언제 나팔을 불라고 하셨습니까?

2. 전쟁할 때 왜 나팔을 불라고 하셨습니까?


▧ 본문해설

은나팔을 불라(1-8)

하나님께서는 나팔 소리의 종류에 따라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메시지를 전달하였습니다. 회중이 모이기도 하고 흩어지기도 하며, 전쟁에 나아가기도 하고 하나님의 거룩한 명절을 지켜야 할 때를 알게도 하셨습니다. 하나님께서 백성들을 소집하는 방법으로 나팔을 지정하신 것은, 그만큼 크고도 분명하게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게 하시려는 의도였습니다. 이 나팔은 제사장들이 불도록 하였습니다. 나팔의 역할은 오늘날 말씀 사역자들의 역할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사도 바울은 사역자들을 가리켜서 “분명한 소리로 나팔을 불어 백성들로 전쟁을 예비케 하는 자” 라고 묘사하고 있습니다(고전 14:8). 그러므로 모든 그리스도인들은 하나님의 거룩한 나팔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세상에 우리 뜻이 아니라 하나님의 뜻을 올바로 전달하는 사명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나팔 소리를 듣는 모든 백성들은 정해진 대로 순종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오늘 나에게 울리는 하나님의 나팔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순종하며 삽시다.

전쟁 중에 나팔 불라(9-10절)

하나님께서는 그 나팔 소리를 따라 순종하는 자들에게 놀라운 약속을 제시하셨습니다. 그것은 하나님께서 그 나팔 소리를 들으실 것과 그것을 따라 나아가는 그 백성들을 기억하시겠다는 약속입니다. 우선 전쟁을 알리는 나팔의 경우, 제사장들은 나팔을 불면서 하나님을 향하여 “주여 우리를 돌아보소서” 라는 믿음으로 불어야 했고, 그 소리는 하나님의 마음을 움직여 그들과 능력으로 함께 하시게 했습니다. 뿐만 아니라 이스라엘 백성들은 이 나팔 소리를 들으면서, 하나님께도 그 소리가 상달되어 그들의 전쟁에 하나님께서 함께 하실 것이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었습니다. 그러한 면에서 우리가 세상의 악한 세력과 싸우면서 거룩한 기도의 은나팔을 크게 부는 것은 얼마나 시급한 일입니까! 이 시대에 기억해야 할 하나님의 약속은 “너희 정한 절기에는 나팔을 불라 그로 말미암아 너희 하나님이 너희를 기억하리라”입니다. 신앙에 위기가 찾아왔을 때, 기도의 나팔을 힘차게 불 때, 하나님께서는 즉시 들으시고 응답하실 것입니다.


▧ 적용


1. 나는 세상에 살면서 분명한 신앙의 소리를 내고 있는가?

2. 감당하기 어려운 일을 당할 때 나를 기억하시는 하나님을 바라보는가?


▧ 오늘의 기도

나는 하나님의 거룩한 나팔로서 하나님의 뜻을 분명히 세상에 알리게 하소서. 위기에 처할 때 기도 나팔을 불게 하소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