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말씀 : 사무엘상 26:13 - 26:25
다윗의 선처(13~20)
[13] 다윗은 언덕 저쪽으로 건너가 사울의 진에서 멀리 떨어진 언덕 꼭대기에 섰습니다.
[14] 다윗은 사울의 군대와 넬의 아들 아브넬을 향하여 소리를 질렀습니다. “아브넬아, 내 말이 들리면 대답해 보아라!” 아브넬이 대답했습니다. “누가 왕을 부르고 있느냐? 너는 누구냐?”
[15] 다윗이 말했습니다. “너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위대한 용사가 아니냐? 그런데 너는 왜 너의 주 왕을 보호하지 않았느냐? 너의 진으로 내려가 너의 주 왕을 죽이려 한 사람이 있었다.
[16] 너의 잘못이 크다. 여호와께 맹세하지만, 너와 네 부하들은 죽어 마땅하도다. 너는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왕 너의 주를 보호하지 못하였다. 자 보아라! 왕의 머리 가까이에 있던 창과 물병이 어디에 있는지 똑똑히 보아라.”
[17] 사울이 다윗의 목소리를 알아듣고 말했습니다. “네가 내 아들 다윗이 맞느냐?” 다윗이 대답했습니다. “내 주 왕이여, 그렇습니다.”
[18] 다윗이 또 말했습니다. “내 주여, 왜 나를 쫓고 계십니까? 내가 무슨 잘못을 했습니까? 내 죄가 무엇입니까?
[19] 내 주 왕이여, 내 말을 들어 보십시오. 만약 왕이 나에 대해 진노하게 하신 분이 여호와시라면, 여호와께서 나를 제물로 받으시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만약 왕이 나에 대해 진노하게 한 것이 사람들이라면, 여호와께서 그들을 저주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들은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땅에서 나를 쫓아 냈습니다. 그들은 나에게 ‘낯선 땅에 가서 다른 신들을 섬겨라’ 하고 말했습니다.
[20] 나를 여호와께서 계신 곳에서 멀리 떨어져 죽게 하지 마십시오. 이스라엘 왕이 어찌 메추라기 한 마리를 사냥하는 사람같이 행동하십니까? 왕이 벼룩을 찾아 나서다니 말이 됩니까?”
다윗에게 감동된 사울(21~25)
[21] 다윗의 말을 듣고 사울이 말했습니다. “내가 죄를 지었다. 내 아들 다윗아 돌아오너라. 오늘 너는 내 생명을 아껴 주었다. 그러니 이제 나도 너를 해치려 하지 않겠다. 내가 바보 같은 짓을 하였다. 내가 큰 실수를 하였다.”
[22] 다윗이 대답하였습니다. “여기 왕의 창이 있습니다. 신하 한 사람을 이리로 보내어 가져가게 하십시오.
[23] 여호와께서는 옳은 일을 하고 충성하는 사람에게 상을 주십니다. 여호와께서는 오늘 왕을 나에게 넘겨 주셨습니다. 그러나 나는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사람을 해칠 생각이 없었습니다.
[24] 나는 오늘 왕의 생명을 아껴 주었습니다. 나는 여호와께서도 이처럼 내 생명을 아껴 주실 것을 확실히 믿습니다. 여호와께서는 모든 어려운 일에서 나를 구해 주실 것입니다.”
[25] 이 말을 듣고 사울이 다윗에게 말했습니다. “내 아들 다윗아, 너는 복을 받았다. 너는 큰 일을 하며 성공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 다윗은 자기 길을 갔고, 사울도 자기 왕궁으로 돌아갔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다윗은 왜 사울을 죽이지 않았습니까?
2. 사울은 다윗의 선대를 알고 어떻게 반응했습니까?
▧ 본문해설
다윗의 선처(13~20)
다윗은 사울을 죽이지 않고 선대한 표로서 물병을 보입니다. 하나님의 기름부음 받은 자에 대한 존중하는 마음을 사울에게 알립니다. 자신이 사울의 생명을 귀하게 여긴 것처럼 자기 생명도 귀하게 여겨달라고 사울에게 말합니다. 아울러 하나님의 명령에 복종한 것을 말하면서 여호와께서도 자신을 중히 여기셔서 모든 환난에서 구해 내시기를 바랍니다. 이는 자신이 의와 신실로 행할 때 하나님께서 그것을 반드시 갚으시리라는 믿음입니다. 다윗에게 역사하셨던 하나님은 지금도 우리가 믿는 하나님이십니다. 우리가 다윗처럼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말씀을 준종할 때 하나님은 우리에게도 복을 주십니다. 우리가 타인의 생명을 귀히 여길 때 하나님도 우리의 생명을 귀히 여기실 것입니다. 그때, 우리를 향해 저주하던 입술이 축복을 선포하는 입술로 변할 것입니다.
다윗에게 감동된 사울(21~25)
“다윗이 국왕의 생명을 존중히 여긴 이 두번째의 경우는 사울의 마음에 깊은 감명을 주었고 그로 하여금 더욱 겸손히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게 하였다. 그는 이러한 친절을 나타내는 것을 보고 놀라고 마음을 낮추었다. 다윗과 작별한 때에 사울은 “내 아들 다윗아 네게 복이 있을지로다 네가 큰 일을 행하겠고 반드시 승리를 얻으리라”고 부르짖었다. 그러나 이새의 아들은 왕이 오랫동안 계속 이런 마음의 자세를 가지리라고 바랄 수 없었다”(부조, 671-672).
사울은 계속해서 자신에게 선을 베푸는 다윗에게 감동되었습니다. 양심에 가책을 받은 그는 자기가 범죄했다고 스스로 고백합니다(21절). 그리고는 다윗을 죽이러 왔던 그가 오히려 다윗의 복을 빌고 갑니다(25절). 이것이야말로 인간관계에 있어서의 부활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었을 때 무너진 인간관계도 다시 회복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회복을 가능케 하는 방법은 십자가적인 삶입니다. 끊임없이 불이익과 핍박을 당하면서도 악을 악으로 갚지 않고 선으로 대할 때 상대편이 결국 감동하게 됩니다. 이것은 한두 번의 선한 행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오래 참아야 합니다. 우리가 생각하고 기대하는 때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정하신 때까지 마음을 가다듬고 선을 행해야 합니다(갈 6:9).
▧ 적용
1. 내게 악을 행하는 사람에게 선을 행하려고 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나는 몇 번이나 내 원수에 대해서 참고 그를 진정으로 용서하는가?
2. 나를 선대하는 사람들에게 진정으로 감사와 은혜의 말을 하였는가?
▧ 오늘의 기도
십자가 위에서도 자신을 조롱하는 자들을 긍휼로 품으셨던 주님의 사랑으로 모든 원수를 사랑으로 선대하게 하소서. 그리하여 원수가 그 사랑에 감동되게 하소서.
다윗의 선처(13~20)
[13] 다윗은 언덕 저쪽으로 건너가 사울의 진에서 멀리 떨어진 언덕 꼭대기에 섰습니다.
[14] 다윗은 사울의 군대와 넬의 아들 아브넬을 향하여 소리를 질렀습니다. “아브넬아, 내 말이 들리면 대답해 보아라!” 아브넬이 대답했습니다. “누가 왕을 부르고 있느냐? 너는 누구냐?”
[15] 다윗이 말했습니다. “너는 이스라엘에서 가장 위대한 용사가 아니냐? 그런데 너는 왜 너의 주 왕을 보호하지 않았느냐? 너의 진으로 내려가 너의 주 왕을 죽이려 한 사람이 있었다.
[16] 너의 잘못이 크다. 여호와께 맹세하지만, 너와 네 부하들은 죽어 마땅하도다. 너는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왕 너의 주를 보호하지 못하였다. 자 보아라! 왕의 머리 가까이에 있던 창과 물병이 어디에 있는지 똑똑히 보아라.”
[17] 사울이 다윗의 목소리를 알아듣고 말했습니다. “네가 내 아들 다윗이 맞느냐?” 다윗이 대답했습니다. “내 주 왕이여, 그렇습니다.”
[18] 다윗이 또 말했습니다. “내 주여, 왜 나를 쫓고 계십니까? 내가 무슨 잘못을 했습니까? 내 죄가 무엇입니까?
[19] 내 주 왕이여, 내 말을 들어 보십시오. 만약 왕이 나에 대해 진노하게 하신 분이 여호와시라면, 여호와께서 나를 제물로 받으시기를 원합니다. 그러나 만약 왕이 나에 대해 진노하게 한 것이 사람들이라면, 여호와께서 그들을 저주하시기를 바랍니다. 그들은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땅에서 나를 쫓아 냈습니다. 그들은 나에게 ‘낯선 땅에 가서 다른 신들을 섬겨라’ 하고 말했습니다.
[20] 나를 여호와께서 계신 곳에서 멀리 떨어져 죽게 하지 마십시오. 이스라엘 왕이 어찌 메추라기 한 마리를 사냥하는 사람같이 행동하십니까? 왕이 벼룩을 찾아 나서다니 말이 됩니까?”
다윗에게 감동된 사울(21~25)
[21] 다윗의 말을 듣고 사울이 말했습니다. “내가 죄를 지었다. 내 아들 다윗아 돌아오너라. 오늘 너는 내 생명을 아껴 주었다. 그러니 이제 나도 너를 해치려 하지 않겠다. 내가 바보 같은 짓을 하였다. 내가 큰 실수를 하였다.”
[22] 다윗이 대답하였습니다. “여기 왕의 창이 있습니다. 신하 한 사람을 이리로 보내어 가져가게 하십시오.
[23] 여호와께서는 옳은 일을 하고 충성하는 사람에게 상을 주십니다. 여호와께서는 오늘 왕을 나에게 넘겨 주셨습니다. 그러나 나는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사람을 해칠 생각이 없었습니다.
[24] 나는 오늘 왕의 생명을 아껴 주었습니다. 나는 여호와께서도 이처럼 내 생명을 아껴 주실 것을 확실히 믿습니다. 여호와께서는 모든 어려운 일에서 나를 구해 주실 것입니다.”
[25] 이 말을 듣고 사울이 다윗에게 말했습니다. “내 아들 다윗아, 너는 복을 받았다. 너는 큰 일을 하며 성공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 다윗은 자기 길을 갔고, 사울도 자기 왕궁으로 돌아갔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다윗은 왜 사울을 죽이지 않았습니까?
2. 사울은 다윗의 선대를 알고 어떻게 반응했습니까?
▧ 본문해설
다윗의 선처(13~20)
다윗은 사울을 죽이지 않고 선대한 표로서 물병을 보입니다. 하나님의 기름부음 받은 자에 대한 존중하는 마음을 사울에게 알립니다. 자신이 사울의 생명을 귀하게 여긴 것처럼 자기 생명도 귀하게 여겨달라고 사울에게 말합니다. 아울러 하나님의 명령에 복종한 것을 말하면서 여호와께서도 자신을 중히 여기셔서 모든 환난에서 구해 내시기를 바랍니다. 이는 자신이 의와 신실로 행할 때 하나님께서 그것을 반드시 갚으시리라는 믿음입니다. 다윗에게 역사하셨던 하나님은 지금도 우리가 믿는 하나님이십니다. 우리가 다윗처럼 원수까지도 사랑하라는 말씀을 준종할 때 하나님은 우리에게도 복을 주십니다. 우리가 타인의 생명을 귀히 여길 때 하나님도 우리의 생명을 귀히 여기실 것입니다. 그때, 우리를 향해 저주하던 입술이 축복을 선포하는 입술로 변할 것입니다.
다윗에게 감동된 사울(21~25)
“다윗이 국왕의 생명을 존중히 여긴 이 두번째의 경우는 사울의 마음에 깊은 감명을 주었고 그로 하여금 더욱 겸손히 자기의 잘못을 인정하게 하였다. 그는 이러한 친절을 나타내는 것을 보고 놀라고 마음을 낮추었다. 다윗과 작별한 때에 사울은 “내 아들 다윗아 네게 복이 있을지로다 네가 큰 일을 행하겠고 반드시 승리를 얻으리라”고 부르짖었다. 그러나 이새의 아들은 왕이 오랫동안 계속 이런 마음의 자세를 가지리라고 바랄 수 없었다”(부조, 671-672).
사울은 계속해서 자신에게 선을 베푸는 다윗에게 감동되었습니다. 양심에 가책을 받은 그는 자기가 범죄했다고 스스로 고백합니다(21절). 그리고는 다윗을 죽이러 왔던 그가 오히려 다윗의 복을 빌고 갑니다(25절). 이것이야말로 인간관계에 있어서의 부활입니다. 하나님과의 관계가 회복되었을 때 무너진 인간관계도 다시 회복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회복을 가능케 하는 방법은 십자가적인 삶입니다. 끊임없이 불이익과 핍박을 당하면서도 악을 악으로 갚지 않고 선으로 대할 때 상대편이 결국 감동하게 됩니다. 이것은 한두 번의 선한 행동으로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오래 참아야 합니다. 우리가 생각하고 기대하는 때가 아니라, 하나님께서 정하신 때까지 마음을 가다듬고 선을 행해야 합니다(갈 6:9).
▧ 적용
1. 내게 악을 행하는 사람에게 선을 행하려고 할 때 어려운 점은 무엇인가? 나는 몇 번이나 내 원수에 대해서 참고 그를 진정으로 용서하는가?
2. 나를 선대하는 사람들에게 진정으로 감사와 은혜의 말을 하였는가?
▧ 오늘의 기도
십자가 위에서도 자신을 조롱하는 자들을 긍휼로 품으셨던 주님의 사랑으로 모든 원수를 사랑으로 선대하게 하소서. 그리하여 원수가 그 사랑에 감동되게 하소서.
반응형
'구약 > 사무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9/15,일) - 하나님을 떠난 사울의 처절한 모습(삼상 28:1-14) (1) | 2013.09.15 |
---|---|
오늘의 QT(9/13,금) - 고난 중에 하나님의 뜻을 찾아라(삼상 27:1-12) (2) | 2013.09.13 |
오늘의 QT(9/11,수) - 원수를 선대하는 다윗의 온유함(삼상 26:1-12) (2) | 2013.09.11 |
오늘의 QT(9/10,화) - 하나님의 뜻을 올바로 행함(삼상 25:32-44) (2) | 2013.09.10 |
오늘의 QT(9/9,월) - 지혜로운 자가 되십시오(삼상 25:18-31) (3) | 2013.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