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말씀 : 민수기 17:1 - 17:13
아론의 싹난 지팡이(1-11)
[1] <싹이 나는 아론의 지팡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2]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하여라. 지파별로 지팡이를 하나씩 거두되, 각 지파의 지도자에게서 지팡이 한 개씩 모두 열두 개를 거두어라. 그리고 지팡이마다 각 지도자의 이름을 써라.
[3] 레위 지파의 지팡이에는 아론의 이름을 써라. 각 지파의 우두머리마다 지팡이가 한 개씩 있어야 한다.
[4] 그 지팡이들을 회막에 두되, 내가 너희를 만나는 언약궤 앞에 놓아 두어라.
[5] 내가 한 사람을 선택하면 그 사람의 지팡이에서 싹이 틀 것이다. 너희에게 늘 불평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버릇을 내가 없애 버리겠다.”
[6]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했습니다. 그리하여 열두 지도자가 모세에게 지팡이를 하나씩 가져왔으므로, 지팡이는 열두 개가 되었습니다. 아론의 지팡이도 그 가운데 있었습니다.
[7] 모세가 그 지팡이들을 여호와 앞에, 곧 회막 안에 놓아 두었습니다.
[8] 이튿날 모세가 장막에 들어가 보니, 레위의 집안을 나타내는 아론의 지팡이에서 싹이 텄습니다. 더구나 지팡이에서 싹이 자라고 꽃이 피더니 감복숭아 열매까지 맺혔습니다.
[9] 모세는 여호와 앞에 있던 그 지팡이들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지고 나갔습니다. 모든 사람이 그 지팡이들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각자 자기 것을 가지고 갔습니다.
[10]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아론의 지팡이를 다시 가져다 놓아라. 그것을 언약궤 앞에 놓아 두어라. 그 지팡이는 언제나 나에게 반역하는 이 백성에게 표적이 될 것이다. 이 지팡이가 나를 향해 백성이 불평하는 것을 멈추게 하여 그들을 죽지 않게 할 것이다.”
[11] 모세는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대로 했습니다.
백성들의 지속적인 원망(12-13)
[12] 이스라엘 백성이 모세에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죽게 되었소. 망하게 되었소. 우리 모두가 다 망하게 되었소.
[13] 여호와의 성막에 가까이 가는 사람은 모두 죽으니, 우리는 다 죽게 생겼소.”
▧ 묵상을 위한 질문
1. 아론의 지팡이에 싹이 나게 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왜 여전히 기적을 보고도 백성들은 회개하지 않고 원망하고 있을까요?
▧ 본문해설
아론의 싹난 지팡이(1-11)
하나님께서는 위기의 때에 지도력에 대한 권위를 지켜주셨습니다. 아론의 지팡이에서 싹이 나게 하십니다. 이렇게 하신 것은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하나님의 권위를 인정하고 백성들의 원망을 그치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리더쉽을 증명하기 위해서 지팡이를 택하신 것은 의미있는 것입니다.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마른 막대기와 같은 존재임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하나님께서 인정하셔야 마른 막대기 같은 존재인 인간에게 꽃이 피는 것입니다. 특히 아론의 지팡이에 싹이 나고 꽃이 피고 살구열매가 맺히게 된 것은 아론이 능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에게 주신 권위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능력임을 깨닫게 하려는 것입니다.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권위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백성들의 지속적인 원망(12-13)
이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회개하고 하나님의 권위에 순복해야 할 텐데, 오히려 모세에게 달려와 자기들은 다 죽게 되었고 망하게 되었다고 부르짖습니다. 그들은 하나님 앞에 회개하고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여야 마땅했습니다. 아직도 그들은 여전히 하나님과 모세에 대해 원망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들은 그들에게 보여주신 하나님의 기적의 이유를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원망은 하나님께 대한 불신에서 오는 것입니다. 어떤 일이 잘못되었을 때, 우리는 원망하기보다 그 일의 의미는 무엇이며, 내가 어떤 태도로 반응해야 할 것인지를 말씀 속에서 찾아 내야 합니다.
▧ 적용
1. 지도력은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것임을 확실하게 인지하자.
2. 아직도 내 마음 속에 원망의 씨앗이 남아 있지는 않는가?
▧ 오늘의 기도
마른 막대기 같은 나를 택해주시고 불러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하나님의 권위에 순복하며 원망하지 않는 삶을 살게하소서.
아론의 싹난 지팡이(1-11)
[1] <싹이 나는 아론의 지팡이>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2]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하여라. 지파별로 지팡이를 하나씩 거두되, 각 지파의 지도자에게서 지팡이 한 개씩 모두 열두 개를 거두어라. 그리고 지팡이마다 각 지도자의 이름을 써라.
[3] 레위 지파의 지팡이에는 아론의 이름을 써라. 각 지파의 우두머리마다 지팡이가 한 개씩 있어야 한다.
[4] 그 지팡이들을 회막에 두되, 내가 너희를 만나는 언약궤 앞에 놓아 두어라.
[5] 내가 한 사람을 선택하면 그 사람의 지팡이에서 싹이 틀 것이다. 너희에게 늘 불평하는 이스라엘 백성의 버릇을 내가 없애 버리겠다.”
[6]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전했습니다. 그리하여 열두 지도자가 모세에게 지팡이를 하나씩 가져왔으므로, 지팡이는 열두 개가 되었습니다. 아론의 지팡이도 그 가운데 있었습니다.
[7] 모세가 그 지팡이들을 여호와 앞에, 곧 회막 안에 놓아 두었습니다.
[8] 이튿날 모세가 장막에 들어가 보니, 레위의 집안을 나타내는 아론의 지팡이에서 싹이 텄습니다. 더구나 지팡이에서 싹이 자라고 꽃이 피더니 감복숭아 열매까지 맺혔습니다.
[9] 모세는 여호와 앞에 있던 그 지팡이들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가지고 나갔습니다. 모든 사람이 그 지팡이들을 보았습니다. 그리고 각자 자기 것을 가지고 갔습니다.
[10]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아론의 지팡이를 다시 가져다 놓아라. 그것을 언약궤 앞에 놓아 두어라. 그 지팡이는 언제나 나에게 반역하는 이 백성에게 표적이 될 것이다. 이 지팡이가 나를 향해 백성이 불평하는 것을 멈추게 하여 그들을 죽지 않게 할 것이다.”
[11] 모세는 여호와께서 명령하신 대로 했습니다.
백성들의 지속적인 원망(12-13)
[12] 이스라엘 백성이 모세에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죽게 되었소. 망하게 되었소. 우리 모두가 다 망하게 되었소.
[13] 여호와의 성막에 가까이 가는 사람은 모두 죽으니, 우리는 다 죽게 생겼소.”
▧ 묵상을 위한 질문
1. 아론의 지팡이에 싹이 나게 하신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왜 여전히 기적을 보고도 백성들은 회개하지 않고 원망하고 있을까요?
▧ 본문해설
아론의 싹난 지팡이(1-11)
하나님께서는 위기의 때에 지도력에 대한 권위를 지켜주셨습니다. 아론의 지팡이에서 싹이 나게 하십니다. 이렇게 하신 것은 이스라엘 자손들에게 하나님의 권위를 인정하고 백성들의 원망을 그치게 하기 위함이었습니다. 하나님께서 리더쉽을 증명하기 위해서 지팡이를 택하신 것은 의미있는 것입니다.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마른 막대기와 같은 존재임을 보여주기 위함입니다. 하나님께서 인정하셔야 마른 막대기 같은 존재인 인간에게 꽃이 피는 것입니다. 특히 아론의 지팡이에 싹이 나고 꽃이 피고 살구열매가 맺히게 된 것은 아론이 능력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에게 주신 권위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능력임을 깨닫게 하려는 것입니다.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권위는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임을 깨달아야 합니다.
백성들의 지속적인 원망(12-13)
이때 이스라엘 백성들은 회개하고 하나님의 권위에 순복해야 할 텐데, 오히려 모세에게 달려와 자기들은 다 죽게 되었고 망하게 되었다고 부르짖습니다. 그들은 하나님 앞에 회개하고 하나님의 긍휼을 구하여야 마땅했습니다. 아직도 그들은 여전히 하나님과 모세에 대해 원망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들은 그들에게 보여주신 하나님의 기적의 이유를 깨닫지 못하고 있습니다. 원망은 하나님께 대한 불신에서 오는 것입니다. 어떤 일이 잘못되었을 때, 우리는 원망하기보다 그 일의 의미는 무엇이며, 내가 어떤 태도로 반응해야 할 것인지를 말씀 속에서 찾아 내야 합니다.
▧ 적용
1. 지도력은 하나님께로부터 오는 것임을 확실하게 인지하자.
2. 아직도 내 마음 속에 원망의 씨앗이 남아 있지는 않는가?
▧ 오늘의 기도
마른 막대기 같은 나를 택해주시고 불러주신 하나님께 감사드리며, 하나님의 권위에 순복하며 원망하지 않는 삶을 살게하소서.
반응형
'구약 >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5/31,금) - 제사장의 분깃(민 18:8-20) (2) | 2013.05.31 |
---|---|
오늘의 QT(5/30,목) - 아름다운 동역(민 18:1-7) (3) | 2013.05.30 |
오늘의 QT(5/28,화) -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들의 결말(민 16:31-50) (3) | 2013.05.28 |
오늘의 QT(5/27,월) - 반역자들을 떠나라(민 16:15-30) (3) | 2013.05.27 |
오늘의 QT(5/26,일) - 권위에 도전한 무리들(민 16:1-14) (3) | 2013.05.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