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말씀 : 민수기 16:1 - 16:14
고라의 무리의 반란(1-3)
[1] <고라, 다단, 아비람, 온> 고라와 다단과 아비람과 온이 모세에게 반역했습니다. 고라는 이스할의 아들이고, 이스할은 고핫의 아들이며, 고핫은 레위의 아들입니다. 다단과 아비람은 형제로서 엘리압의 아들들입니다. 그리고 온은 벨렛의 아들입니다. 다단과 아비람과 온은 르우벤 지파 사람입니다.
[2] 이 네 사람은 다른 이스라엘 사람 이백오십 명을 모아 모세에게 반역했습니다. 그들은 이스라엘 무리가 뽑은 유명한 지도자들입니다.
[3] 그들은 무리를 지어 와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했습니다. “당신들은 너무 지나치오. 모든 백성이 다 거룩하오. 거룩하지 않은 백성은 없소. 그리고 여호와께서 그들과도 함께 계시오. 그런데 당신들은 왜 스스로를 높여서 모든 백성 위에 있으려 하오?”
왜곡되어진 직분(4-14)
[4] 모세는 이 말을 듣고 땅에 엎드렸습니다.
[5] 그런 다음에 모세는 고라를 비롯해서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말했습니다. “내일 아침, 여호와께서 누가 여호와의 사람인지를 보여 주실 것이오. 그리고 누가 거룩한 사람인지, 누가 여호와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는지도 보여 주실 것이오. 여호와께서는 그가 뽑으신 사람만을 여호와께 나아올 수 있도록 하실 것이오.
[6] 그러므로 고라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은 향로를 가져오시오.
[7] 내일 그 향로에 불을 담아 향을 피우시오. 그 때에 여호와께서 뽑으신 사람이 거룩한 사람이 될 것이오. 당신들 레위 사람은 너무 지나치오.”
[8] 모세가 고라에게 말했습니다. “당신들 레위 사람은 들으시오.
[9]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는 당신들을 다른 이스라엘 백성과 구별하셔서, 당신들을 하나님께 가까이 갈 수 있게 하셨소. 당신들은 여호와의 거룩한 장막인 성막에서 일하며, 모든 이스라엘 백성 앞에 서서 그들을 대신하여 여호와를 섬기고 있소. 그것이 부족하단 말이오?
[10] 하나님께서는 당신과 다른 레위 사람을 가까이 부르셨소. 그런데 당신들이 이제는 제사장까지 되려 하고 있소.
[11] 당신과 당신을 따르는 사람들은 무리를 지어서 여호와께 반역했소. 아론이 누구인데 감히 그에게 반역한단 말이오!”
[12] 모세가 엘리압의 아들들인 다단과 아비람을 불렀으나, 그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가지 않겠소.
[13] 당신은 젖과 꿀이 넘쳐 흐를 만큼 비옥한 땅에서 살고 있던 우리를 이 광야로 이끌어 내어 죽이려 하고 있소. 그것으로도 부족해서 이제는 우리 위에서 우리를 다스리려 하고 있소.
[14] 당신은 우리를 젖과 꿀이 넘쳐 흐를 만큼 비옥한 땅으로 인도하지 못했소. 밭과 포도밭이 있는 땅도 주지 못했소. 당신은 이 사람들의 눈을 뽑을 생각이오? 우리는 갈 수 없소.”
▧ 묵상을 위한 질문
1. 고라의 무리가 모세에게 도전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 모든 권위의 출발점은 어디입니까?
▧ 본문해설
고라의 무리의 반란(1-3)
레위 지파의 고라와 르우벤 지파의 다단과 아비람, 온이 당을 짓고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이들은 각기 제사장직과 정치적 주도권을 차지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모세를 대항하였습니다. 이 반역의 무리들은 그들의 반란이 정당함을 내세우기 위해 온 회중이 거룩하다는 것과 그들 가운데 하나님이 임재하고 계시다는 것을 자랑하며, 모세와 아론이 자기들 스스로 그들의 영예를 차지했다고 비방했습니다. 인간은 언제나 1등이 되고자 하는 욕심이 있습니다. 이것은 곧 사단의 정신입니다. 하나님의 자리까지 넘보고 그 자리를 빼앗고자 하는 정신이 바로 죄의 시작입니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죄의 씨앗이 모든 사람에게 있을 수 있습니다. 각자 자신에게 맡겨진 임무에 감사하며 충성을 다할 때, 질서가 있고 화평이 있습니다.
특히 하나님의 지도자를 대적하는 행위는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어지러움의 하나님이 아니라 질서의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이 세우신 권위에 순복하는 것은 마땅한 일입니다.
왜곡되어진 직분(4-14)
자신에게 반역을 한 세력 앞에서 모세는 혈기로 대하지 않고, 먼저 하나님께 기도로 나아갔습니다. 모세는 그들을 불러 그들이 맡은 성막의 물건을 관리하고 운반하는 일이 결코 하찮은 것이 아님을 말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열등감에 사로잡혀 있었고 오히려 직분을 계급과 신분 상승으로 오해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거룩한 성전이 되어가고 처소가 되기 위해 함께 지어져가는 지체입니다(엡2:22). 하나님 앞에서의 직분은 은혜의 증거요 섬김의 기회입니다. 직분을 높낮이나 한낱 계급으로 보아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의 교회를 섬기는 사람들의 자세는 나를 충성되이 여겨 직분을 맡기신 주님께 감사하며 섬기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의 나라에서는 서열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기 맡은 직분이 있을 뿐입니다.
▧ 적용
1. 나는 지도자에게 반역의 마음을 품은 적이 없는가?
2. 나는 나에게 맡겨진 직분을 감사하며 섬기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주님이 세우신 지도자를 비난하거나 권위를 무시하는 자가 되지 않게 하시며, 나를 충성되이 여기사 주신 직분을 감사함으로 받고 섬김의 기회가 되게 하소서
고라의 무리의 반란(1-3)
[1] <고라, 다단, 아비람, 온> 고라와 다단과 아비람과 온이 모세에게 반역했습니다. 고라는 이스할의 아들이고, 이스할은 고핫의 아들이며, 고핫은 레위의 아들입니다. 다단과 아비람은 형제로서 엘리압의 아들들입니다. 그리고 온은 벨렛의 아들입니다. 다단과 아비람과 온은 르우벤 지파 사람입니다.
[2] 이 네 사람은 다른 이스라엘 사람 이백오십 명을 모아 모세에게 반역했습니다. 그들은 이스라엘 무리가 뽑은 유명한 지도자들입니다.
[3] 그들은 무리를 지어 와서 모세와 아론에게 말했습니다. “당신들은 너무 지나치오. 모든 백성이 다 거룩하오. 거룩하지 않은 백성은 없소. 그리고 여호와께서 그들과도 함께 계시오. 그런데 당신들은 왜 스스로를 높여서 모든 백성 위에 있으려 하오?”
왜곡되어진 직분(4-14)
[4] 모세는 이 말을 듣고 땅에 엎드렸습니다.
[5] 그런 다음에 모세는 고라를 비롯해서 그를 따르는 사람들에게 말했습니다. “내일 아침, 여호와께서 누가 여호와의 사람인지를 보여 주실 것이오. 그리고 누가 거룩한 사람인지, 누가 여호와께 가까이 나아갈 수 있는지도 보여 주실 것이오. 여호와께서는 그가 뽑으신 사람만을 여호와께 나아올 수 있도록 하실 것이오.
[6] 그러므로 고라와 그를 따르는 사람들은 향로를 가져오시오.
[7] 내일 그 향로에 불을 담아 향을 피우시오. 그 때에 여호와께서 뽑으신 사람이 거룩한 사람이 될 것이오. 당신들 레위 사람은 너무 지나치오.”
[8] 모세가 고라에게 말했습니다. “당신들 레위 사람은 들으시오.
[9] 이스라엘의 하나님께서는 당신들을 다른 이스라엘 백성과 구별하셔서, 당신들을 하나님께 가까이 갈 수 있게 하셨소. 당신들은 여호와의 거룩한 장막인 성막에서 일하며, 모든 이스라엘 백성 앞에 서서 그들을 대신하여 여호와를 섬기고 있소. 그것이 부족하단 말이오?
[10] 하나님께서는 당신과 다른 레위 사람을 가까이 부르셨소. 그런데 당신들이 이제는 제사장까지 되려 하고 있소.
[11] 당신과 당신을 따르는 사람들은 무리를 지어서 여호와께 반역했소. 아론이 누구인데 감히 그에게 반역한단 말이오!”
[12] 모세가 엘리압의 아들들인 다단과 아비람을 불렀으나, 그들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가지 않겠소.
[13] 당신은 젖과 꿀이 넘쳐 흐를 만큼 비옥한 땅에서 살고 있던 우리를 이 광야로 이끌어 내어 죽이려 하고 있소. 그것으로도 부족해서 이제는 우리 위에서 우리를 다스리려 하고 있소.
[14] 당신은 우리를 젖과 꿀이 넘쳐 흐를 만큼 비옥한 땅으로 인도하지 못했소. 밭과 포도밭이 있는 땅도 주지 못했소. 당신은 이 사람들의 눈을 뽑을 생각이오? 우리는 갈 수 없소.”
▧ 묵상을 위한 질문
1. 고라의 무리가 모세에게 도전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 모든 권위의 출발점은 어디입니까?
▧ 본문해설
고라의 무리의 반란(1-3)
레위 지파의 고라와 르우벤 지파의 다단과 아비람, 온이 당을 짓고 반란을 일으켰습니다. 이들은 각기 제사장직과 정치적 주도권을 차지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모세를 대항하였습니다. 이 반역의 무리들은 그들의 반란이 정당함을 내세우기 위해 온 회중이 거룩하다는 것과 그들 가운데 하나님이 임재하고 계시다는 것을 자랑하며, 모세와 아론이 자기들 스스로 그들의 영예를 차지했다고 비방했습니다. 인간은 언제나 1등이 되고자 하는 욕심이 있습니다. 이것은 곧 사단의 정신입니다. 하나님의 자리까지 넘보고 그 자리를 빼앗고자 하는 정신이 바로 죄의 시작입니다. 오늘날에도 이러한 죄의 씨앗이 모든 사람에게 있을 수 있습니다. 각자 자신에게 맡겨진 임무에 감사하며 충성을 다할 때, 질서가 있고 화평이 있습니다.
특히 하나님의 지도자를 대적하는 행위는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어지러움의 하나님이 아니라 질서의 하나님이십니다. 하나님이 세우신 권위에 순복하는 것은 마땅한 일입니다.
왜곡되어진 직분(4-14)
자신에게 반역을 한 세력 앞에서 모세는 혈기로 대하지 않고, 먼저 하나님께 기도로 나아갔습니다. 모세는 그들을 불러 그들이 맡은 성막의 물건을 관리하고 운반하는 일이 결코 하찮은 것이 아님을 말합니다. 그러나 그들은 열등감에 사로잡혀 있었고 오히려 직분을 계급과 신분 상승으로 오해하고 있었습니다.
우리는 거룩한 성전이 되어가고 처소가 되기 위해 함께 지어져가는 지체입니다(엡2:22). 하나님 앞에서의 직분은 은혜의 증거요 섬김의 기회입니다. 직분을 높낮이나 한낱 계급으로 보아서는 안 됩니다. 하나님의 교회를 섬기는 사람들의 자세는 나를 충성되이 여겨 직분을 맡기신 주님께 감사하며 섬기는 마음이 필요합니다. 하나님의 나라에서는 서열이 있는 것이 아니라, 각기 맡은 직분이 있을 뿐입니다.
▧ 적용
1. 나는 지도자에게 반역의 마음을 품은 적이 없는가?
2. 나는 나에게 맡겨진 직분을 감사하며 섬기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주님이 세우신 지도자를 비난하거나 권위를 무시하는 자가 되지 않게 하시며, 나를 충성되이 여기사 주신 직분을 감사함으로 받고 섬김의 기회가 되게 하소서
반응형
'구약 >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5/28,화) - 하나님을 대적하는 자들의 결말(민 16:31-50) (3) | 2013.05.28 |
---|---|
오늘의 QT(5/27,월) - 반역자들을 떠나라(민 16:15-30) (3) | 2013.05.27 |
오늘의 QT(5/24,금) - 하나님 앞에서 거룩하라(민 15:22-41) (5) | 2013.05.24 |
오늘의 QT(5/23,목) - 삶이 예배요, 예배가 삶이다(민 15:1-21) (3) | 2013.05.23 |
오늘의 QT(5/22,수) - 불순종의 대가(민 14:20-45) (3) | 2013.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