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출애굽기

오늘의 QT(11/18,일) - 하나님의 뜻을 아는 판결흉패(출 28:15-30)

by ☆★★★ 2012. 11. 18.
반응형

▧ 오늘의 말씀 : 출애굽기 28:15 - 28:30

하나님의 뜻을 묻는 판결흉패(15-30)

[15] <가슴 덮개> “너는 가슴 덮개를 만들어서 재판을 할 때 쓸 수 있도록 하여라. 에봇을 만든 것과 같은 방법으로 금실, 파란 실, 자주색 실, 빨간 실과 고운 모시로 정교하게 짜서 가슴 덮개를 만들어라.
[16] 가슴 덮개는 정사각형 모양으로 두 겹이 되게 하여 길이와 너비가 모두 한 뼘 정도 되게 하여라.
[17] 가슴 덮개에 네 줄로 아름다운 보석을 박아라. 첫째 줄에는 홍옥과 황옥과 녹주석을 박고
[18] 둘째 줄에는 홍수정, 청옥, 금강석을 박고
[19] 셋째 줄에는 호박과 백마노와 자수정을 박고
[20] 넷째 줄에는 녹주석과 줄마노와 벽옥을 박아라. 그리고 그 보석들을 금틀에 박아 넣어라.
[21] 가슴 덮개에는 보석이 모두 열두 개가 되게 하여라. 보석마다 열두 지파를 위해서 그 이름을 도장을 새기듯이 하나씩 새겨라.
[22] 가슴 덮개에 쓸 순금 사슬을 만들어라. 이 사슬들은 노끈처럼 꼬아 만들어라.
[23] 금고리 두 개를 만들고 그 금고리를 가슴 덮개의 위쪽 두 모서리에 달아라.
[24] 금사슬 두 개를 가슴 덮개의 양쪽 끝에 달려 있는 금고리 두 개에 하나씩 매고
[25] 금사슬의 다른 쪽 끝은 멜빵에 달려 있는 금틀에 매달아라. 그렇게 하면 금사슬은 에봇 앞쪽의 멜빵에 매달릴 것이다.
[26] 또 금고리를 두 개 더 만들어라. 그것을 가슴 덮개의 아래쪽 두 모서리, 곧 에봇과 맞닿는 안쪽 덮개에 매달아라.
[27] 그리고 금고리를 또 두 개 만들어라. 그것을 에봇 앞의 멜빵 끝, 곧 에봇의 공들여 짠 띠 위쪽 매는 곳에 매달아라.
[28] 가슴 덮개의 고리들을 에봇의 고리들과 파란 끈으로 묶어서 가슴 덮개가 에봇의 공들여 짠 띠 위에 놓이게 하고, 또 가슴 덮개가 에봇에 너무 느슨하게 연결되지 않도록 하여라.
[29] 아론은 성소에 들어갈 때, 이스라엘의 열두 아들의 이름을 가슴에 붙이고 들어가거라. 그 이름을 재판할 때, 도움을 주는 가슴 덮개 위에 새겨라. 그것은 여호와 앞에서 언제나 이스라엘을 기억나게 할 것이다.
[30] 우림과 둠밈을 가슴 덮개 안에 넣어라. 그 물건들은 아론이 여호와 앞에 나아갈 때, 그의 가슴 위에 있어야 한다. 그 물건들은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재판할 때 도움을 줄 것이다. 아론은 언제나 여호와 앞에 나아갈 때마다 그것들을 몸에 지니고 있어야 한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흉패에 있는 12보석은 무엇을 상징합니까?

2. 판결흉패 안에 있는 우림과 둠밈은 무엇입니까?


▧ 본문해설

하나님의 뜻을 묻는 판결흉패(15-30)

에봇 위에는 흉패가 있었다. 그것은 제사장의 제복 중에서 가장 신성한 부분이었다. 이것은 에봇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졌고 그 모양은 사방이 모두 한뼘이 되는 정방형이었으며 금고리에 꿰어진 푸른 끈으로 어깨에서 늘어뜨렸다. 그 가장자리는 하나님의 도성의 열 두 기초와 같은 다양한 보석들로 이루어졌다. 그 사각형 안에는 견대에 있는 것들과 같이 지파의 이름들이 새겨진, 금에 물린 열 두 보석들이 네 줄로 배열되어 있었다. 여호와의 명령은 “아론이 성소에 들어갈 때에는 이스라엘 아들들의 이름을 기록한 이 판결 흉패를 가슴에 붙여 여호와 앞에 영원한 기념을 삼을 것이니라”(출 28:29)는 것이었다. 그와 같이 크신 대제사장이신 그리스도께서 죄인을 위하여 아버지 앞에서 그분의 피로 탄원할 때에 회개하고 믿는 각 영혼의 이름을 그분의 마음에 지니신다. 시편 기자는 “나는 가난하고 궁핍하오나 주께서는 나를 생각하”(시 40:17)신다고 말한다.
흉패의 좌우에 찬란하게 빛나는 두 큰 보석이 있었다. 이것들은 우림과 둠밈으로 알려져 있었다. 그것들로 말미암아 하나님의 뜻이 대제사장을 통해서 알려졌다. 여호와 앞에 결정을 구하는 문제가 제출되었을 때에 빛이 바른쪽에 있는 보석을 둘러싸면 그것은 하나님께서 동의 혹은, 승인하신다는 표이며 구름이 왼쪽 보석을 둘러싸면 그것은 거부 또는, 불찬성의 증거이었다(부조, 351).

흉패는 네줄로 보석을 물려서 12개의 보석을 달고 그 보석에 각각 이스라엘 아들들의 이름을 새기게 하셨습니다. 이것은 다시 한번 더 언약공동체인 이스라엘을 상징하는 것이었습니다. 또한 그 흉패 안에는 판결을 위한 우림과 둠밈을 넣으라고 명하셨습니다. 이 흉패는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이 양자택일의 판결 문제에 봉착했을 때 사용되는 것으로 ‘판결흉패’라고 불리웠습니다. 이 흉패 안에 있는 우림과 둠밈은 인간의 능력으로 하나님의 뜻을 명확하게 결정할 수 없을 때 결정하는 수단이었습니다.
즉 하나님께서는 불분명한 하나님의 뜻을 제사장이 백성들에게 명확하게 결정해 줄 수 있는 도구를 주셨으며 그 말씀을 12지파 모두는 분명히 순종해야 했습니다. 흉패에 있는 12지파의 이름이 새겨진 보석은 그 하나님의 뜻을 피할 수 있는 백성은 아무도 없음을 보여줍니다. 오늘날에는 계시된 말씀으로 하나님의 뜻을 밝히 알 수 있습니다. 또한 드러나지 않은 부분에 있어서는 하나님의 종들과 주의 뜻을 신실하게 따르는 동역자들의 권고를 통하여 찾아갈 수 있습니다. 분명한 것은 이렇게 드러나는 하나님의 뜻을 그리스도인은 누구라도 피하거나 거부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 적용

1. 하나님의 뜻을 확실히 알지 못할 때 나는 어떤 방법을 취하고 있습니까?

2. 하나님의 말씀이 임할 때 나는 즉시 순종합니까?


▧ 오늘의 기도

주님, 주님의 뜻을 분명히 듣고 순종하는 삶을 살게하소서. 나에게 선포되는 하나님의 말씀에 핑계하거나 미루지 않게 하소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