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이사야

안교교과 QT(12/27,목) - 새 땅에서의 생활(사 35:1-10)

by ☆★★★ 2018. 12. 27.
반응형

2018-4 장년교과 13과.pdf

▧ 오늘의 말씀 : 이사야 35:1-10

하나님의 구원, 소망이 있는 미래(1-8)

[1] <위로하시는 하나님> 광야와 메마른 땅이 기뻐하며, 사막이 꽃을 피울 것이다.
[2] 사막이 풍성한 꽃들과 함께 기뻐 외치며 즐거워할 것이다. 레바논의 숲처럼, 갈멜의 산과 샤론의 평야처럼 아름다울 것이다. 모든 사람이 여호와의 영광을 보며 우리 하나님의 광채를 볼 것이다.
[3] 약한 손을 강하게 하고, 떨리는 무릎을 굳세게 하여라.
[4] 마음에 근심하는 사람에게 일러 주어라. “굳세어라. 두려워하지 마라. 보아라. 너희 하나님이 오신다. 하나님이 너희의 원수를 심판하실 것이며, 그들이 행한 대로 갚아 주실 것이다. 오셔서 너희를 구해 주실 것이다.”
[5] 그 때에 보지 못하는 사람이 다시 보고, 듣지 못하는 사람이 다시 들을 것이다.
[6] 다리를 저는 사람이 사슴처럼 뛰고, 말을 못하던 사람이 기쁨으로 노래할 것이다. 광야에 샘물이 흐르고, 메마른 땅에 시냇물이 흐를 것이다.
[7] 불타는 사막이 연못으로 변하고, 마른 땅이 물을 뿜어 내는 샘으로 변하며, 이리가 살던 곳에 풀과 갈대와 왕골이 자랄 것이다.
[8] 사막이었던 땅에 큰 길이 날 것이며, 그 길은 ‘거룩한 길’이라 불릴 것이다. 악한 백성은 그 길로 다니지 못하고, 오직 의로운 백성만 다닐 수 있을 것이다. 어리석은 사람도 그 길을 밟지 못할 것이다.

구원받은 성도가 누릴 기쁨(9-10)

[9] 거기에는 사자가 없고, 사나운 짐승이 다니지 못할 것이다. 그 길에서 그런 짐승은 찾아보지 못할 것이다. 그 길로는 오직 하나님이 구원하신 백성만 다닐 것이다.
[10] 여호와께서 자유를 주신 백성이 시온에 돌아와 영원한 기쁨의 노래를 부를 것이다. 슬픔과 고통은 멀리 사라지고, 즐거움과 행복이 넘칠 것이다.


▧ 본문해설

하나님의 구원, 소망이 있는 미래(1-8)

에돔의 파멸과는 대조적으로 이사야는 하나님이 자기 백성에게 이루실 궁극적인 구원과 회복을 노래했습니다. 곧 포로 생활 이후 이스라엘에게 행하실 소망이 있는 미래를 예언했습니다. 이사야는 연약하여 두려워하는 자들에게 강하고 굳세게 하라고 권했습니다(4절). 이는 하나님이 오셔서 대적에게 보복하시고 그들을 구원해 주실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때 소경의 눈이 밝게 되며 귀머거리의 귀가 열리고, 저는 자가 뛰게 되며 벙어리가 노래하는 놀라운 기적이 일어날 것입니다. 또한 광야에서 물이 솟고 사막에 시내가 흐르며 메마른 땅이 변해 물이 샘솟는 원천이 될 것입니다. 하나님이 함께하심으로 이처럼 놀라운 변화를 경험하게 됩니다. 하나님이 없는 인생은 황무하지만, 하나님과 함께하는 인생은 풍요롭습니다. 

구원받은 성도가 누릴 기쁨(9-10)

하나님의 구원은 우리에게 기쁨과 즐거움을 선물합니다. ‘여호와의 속량함을 얻은 자들이 돌아오되’(10절)라는 말은 일차적으로는 바벨론 포로에서 해방되어 귀환하는 역사적인 구원을, 궁극적으로는 죄에서 해방되어 구원받는 영적인 구원을 뜻합니다. 이사야는 구원이 완성되는 날 거룩한 시온 성에 들어갈 수 있는 자는 오직 ‘구속함을 얻은 자’(9절)뿐이라고 예언했습니다. 하나님의 구원은 이미 확정되었습니다. 그리고 구원받은 성도는 하나님 안에서 영영한 기쁨과 즐거움을 얻었습니다. 혹시 현재 삶이 힘들고 고통스럽습니까? 하나님의 구원과 회복의 날을 크게 소망할 때 슬픔과 탄식은 멀리 달아날 것입니다.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시간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을 느끼고 누리는 성도는 진정으로 영원한 즐거움을 누릴 것입니다.

 
▧ 더 깊은 묵상 

1. 하나님이 함께하시는 나와 우리 가정의 미래는 소망이 있고 잘될 것을 확신합니까? 

2. 염려하기보다 생명을 주시기까지 나를 사랑하시는 하나님께 기도합니까?  
 
 
▧ 오늘의 기도

주님만 제 메마른 심령을 회복시키실 수 있습니다. 주님의 성령만 사막 같은 제 인생을 옥토로 변화시키실 수 있습니다. 오늘도 주님의 성령으로 제 삶을 채워 주소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