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말씀 : 로마서 4:13-25
세상의 후사의 언약(13-16)
13 아브라함이나 그 후손에게 세상의 후사가 되리라고 하신 언약은 율법으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요 오직 믿음의 의로 말미암은 것이니라 14 만일 율법에 속한 자들이 후사이면 믿음은 헛것이 되고 약속은 폐하여졌느니라 15 율법은 진노를 이루게 하나니 율법이 없는 곳에는 범함도 없느니라 16 그러므로 후사가 되는 이것이 은혜에 속하기 위하여 믿음으로 되나니 이는 그 약속을 그 모든 후손에게 굳게 하려 하심이라 율법에 속한 자에게 뿐아니라 아브라함의 믿음에 속한 자에게도니 아브라함은 하나님 앞에서 우리 모든 사람의 조상이라
바랄 수 없는 중에 믿음(17-25)
17 기록된바 내가 너를 많은 민족의 조상으로 세웠다 하심과 같으니 그의 믿은바 하나님은 죽은 자를 살리시며 없는 것을 있는 것 같이 부르시는 이시니라 18 아브라함이 바랄 수 없는 중에 바라고 믿었으니 이는 네 후손이 이 같으리라 하신 말씀대로 많은 민족의 조상이 되게 하려 하심을 인함이라 19 그가 백세나 되어 자기 몸의 죽은 것 같음과 사라의 태의 죽은 것 같음을 알고도 믿음이 약하여지지 아니하고 20 믿음이 없어 하나님의 약속을 의심치 않고 믿음에 견고하여져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며 21 약속하신 그것을 또한 능히 이루실 줄을 확신하였으니 22 그러므로 이것을 저에게 의로 여기셨느니라 23 저에게 의로 여기셨다 기록된 것은 아브라함만 위한 것이 아니요 24 의로 여기심을 받을 우리도 위함이니 곧 예수 우리 주를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신 이를 믿는 자니라 25 예수는 우리 범죄함을 위하여 내어줌이 되고 또한 우리를 의롭다 하심을 위하여 살아나셨느니라
▨ 묵상을 위한 질문
1. 누가 아브라함의 후사가 됩니까?
2. 아브라함은 어떻게 바랄 수 없는 때에 하나님의 약속을 믿었습니까?
▨ 본문해설
세상의 후사가 될 것임(13-16)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나는 너와 네 후손의 하나님이 되리라”고 언약을 하셨습니다(창 17:7). 이 언약의 복은 율법으로가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 받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아브라함은 예수를 믿는 모든 사람의 조상이고, 믿는 우리는 아브라함의 후손이 되었습니다. 예수를 믿는 우리가 아브라함의 후손이라는 것은 아브라함이 받은 모든 축복을 우리가 이어 받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도 아브라함 같은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바랄 수 없는 중에 믿음(17-25)
아브라함이 ‘바랄 수 없는 중에 바라고 믿었’다는 말씀은 창세기 17장 14-22의 말씀을 해석한 것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이 백세가 되었을 때 그에게 후손을 약속하셨습니다(창 17:16). 그때 아브라함은 웃으며 심중에 이르기를 “백 세 된 사람이 어찌 자식을 낳을까 사라는 구십 세니 어찌 생산하리요”고 말합니다(창 17:17). 이때 웃음이라는 말은 “피식 웃는다”라는 말입니다. 여기서 보면 아브라함은 전혀 믿음이 없는 것처럼 보입니다. 왜냐하면 그는 백 세된 몸으로 아이를 낳을 자신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본문에서는 “믿음이 없어지지 아니하고 믿음이 없어 하나님의 약속을 의심치 않고 믿음에 견고”하여졌다고 기록합니다. 여기서 나타난 아브라함의 믿음이란 그 자신이 가지고 있는 용기나 자신감이나 신념이 아닙니다. 그러나 그런 가운데서도 믿음이 있었다는 것은 “나는 할 수 없지만 이것을 약속하신 하나님께서는 능히 이루실 줄 확신했다”는 말입니다. 아브라함의 믿음이란 바랄 수 없는 가운데 믿는 믿음입니다. 또한 인간적으로 할 수 없지만 약속하신 하나님을 바라고 신뢰하는 것입니다. 진정한 믿음은 내가 할 수 없기 때문에 좌절하는 것이 아니라, 나는 할 수 없지만 능히 이루실 전능하신 하나님(창 17:1)을 바라보며 나아가는 것입니다.
“의는 율법에 순종하는 것이다. 율법은 의를 요구하고, 죄인은 율법에게 이 빚을 갚아야 하는데 이제 그는 이것을 치룰 수 있게 되었다. 그가 의에 이를 수 있는 유일한 길은 믿음을 통해서 가는 길 뿐이다. 믿음으로 그는 그리스도의 공로를 하나님께 가져갈 수 있게 되었고 하나님은 그 아들의 순종을 죄인의 계정에다 두신다. 인간의 실패 대신으로 그리스도의 의가 가납된다. 그리고 하나님은 믿고 회개하는 영혼을 받으시고, 용서하시고, 의롭다 하시고, 의인을 대하듯 그를 대하시고, 그의 아들을 사랑하듯 그를 사랑하신다. 이것이 바로 믿음이 어떻게 의로 여기시는 바 되는가 하는 것이다”(리뷰 1890. 11. 4).
▨ 적용
1. 내가 아브라함과 같이 하나님을 믿는다면 나도 믿음의 후사임을 믿는가?
2. 나는 바랄 수 없는 중에도 하나님을 믿는 믿음을 소유하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믿음으로 아브라함의 후손이 되게 하신 것을 감사합니다. 바랄 수 없고, 할 수 없는 가운데 믿을 수 있는 믿음을 주옵소서.
'신약 > 로마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2/16,수) - 아담과 그리스도(롬 5:12-21) (1) | 2011.02.16 |
---|---|
오늘의 QT(2/15,화) - 믿음으로 의롭게 된 결과(롬 5:1-11) (0) | 2011.02.15 |
오늘의 QT(2/13,일) - 아브라함의 믿음1(롬 4:1-12) (1) | 2011.02.13 |
2월 3째주 QT본문(롬 4-6장) (0) | 2011.02.12 |
오늘의 QT(2/11,금) -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義)(롬 3:19-31) (3) | 2011.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