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성경통독 : 욥 6-7장
▧ 말씀묵상 : 욥 6:1-13
위로받지 못한 자 (1-9)
[1] 욥이 대답하여 가로되
[2] 나의 분한을 달아 보며 나의 모든 재앙을 저울에 둘 수 있으면
[3] 바다 모래보다도 무거울 것이라 그럼으로하여 나의 말이 경솔하였구나
[4] 전능자의 살이 내 몸에 박히매 나의 영이 그 독을 마셨나니 하나님의 두려움이 나를 엄습하여 치는구나
[5] 들 나귀가 풀이 있으면 어찌 울겠으며 소가 꼴이 있으면 어찌 울겠느냐
[6] 싱거운 것이 소금 없이 먹히겠느냐 닭의 알 흰자위가 맛이 있겠느냐
[7] 이런 것을 만지기도 내 마음이 싫어하나니 못된 식물 같이 여김이니라
[8] 하나님이 나의 구하는 것을 얻게 하시며 나의 사모하는 것 주시기를 내가 원하나니
[9] 이는 곧 나를 멸하시기를 기뻐하사 그 손을 들어 나를 끊으실 것이라
하나님과 떨어져서 슬픈 자 (10-13)
[10] 그러할지라도 내가 오히려 위로를 받고 무정한 고통 가운데서도 기뻐할 것은 내가 거룩하신 이의 말씀을 거역지 아니하였음이니라
[11] 내가 무슨 기력이 있관대 기다리겠느냐 내 마지막이 어떠하겠관대 오히려 참겠느냐
[12] 나의 기력이 어찌 돌의 기력이겠느냐 나의 살이 어찌 놋쇠겠느냐
[13] 나의 도움이 내 속에 없지 아니하냐 나의 지혜가 내게서 쫓겨나지 아니하였느냐
▧ 묵상을 위한 질문
1. 욥은 엘리바스의 말을 듣고 어떤 반응을 보였나요?
2. 한탄하는 욥의 말은 무엇인가요?
▧ 본문해설
위로받지 못한 자 (1-9)
자신의 어려움만 무겁게 여기는 사람은 자기만 아는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쉽게 상처를 줍니다. 욥은 엘리바스의 말에 큰 상처를 받았습니다. 엘리바스는 욥의 처지를 이해하기보다 자신의 통찰력을 입증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욥은 자신이 겪는 아픔과 원통함이 얼마나 큰지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싶어 합니다. 그는 하나님이 자신을 죽이려고 독을 묻힌 화살을 쏘고 계시다고 느낍니다. 그래서 회복을 기대할 수도 없습니다. 빨리 죽음을 맞아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밖에 없습니다. 욥에게 주어진 고난은 결코 엘리바스가 말한 사랑의 매가 아닙니다. 엘리바스가 욥의 아픔을 더 이해했다면 진정한 위로를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성도는 자신의 어려움은 가볍게 여기고, 다른 사람의 어려움은 무겁게 여기는 사람입니다.
하나님과 떨어져서 슬픈 자 (10-13)
이 세상에 쓸모없는 사람이란 없습니다. 누구나 존재할 이유가 있고 가치가 있습니다. 하지만 욥의 극심한 고통은 자신을 쓸모없는 사람이라 생각하게 만듭니다. 특히 하나님께 징벌받는다는 사실이 그를 힘들게 합니다. 욥은 누구보다도 하나님을 붙잡고 경건하게 살아왔습니다. 하나님 없는 삶은 생각해 보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오히려 하나님께 공격당한다고 느끼는 처지입니다. 욥은 하나님을 떠난 것이 아닙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결코 거역하며 살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이는 자신의 의로움을 드러내려 함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였다는 항변입니다. 이제까지 하나님께 힘을 받아 살아왔는데, 이제 욥은 살아갈 힘이 없습니다. 하나님과 떨어져 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 적용
▧ 기도
눈에 보이는 복에만 마음을 두었음을 회개합니다. 고통이 더할수록 사람에게 많은 말을 하기보다 참 위로자 되신 하나님께 더 많이 간구하게 하시고, 고난이 축복임을 깨닫게 하소서.
▧ 말씀묵상 : 욥 6:1-13
위로받지 못한 자 (1-9)
[1] 욥이 대답하여 가로되
[2] 나의 분한을 달아 보며 나의 모든 재앙을 저울에 둘 수 있으면
[3] 바다 모래보다도 무거울 것이라 그럼으로하여 나의 말이 경솔하였구나
[4] 전능자의 살이 내 몸에 박히매 나의 영이 그 독을 마셨나니 하나님의 두려움이 나를 엄습하여 치는구나
[5] 들 나귀가 풀이 있으면 어찌 울겠으며 소가 꼴이 있으면 어찌 울겠느냐
[6] 싱거운 것이 소금 없이 먹히겠느냐 닭의 알 흰자위가 맛이 있겠느냐
[7] 이런 것을 만지기도 내 마음이 싫어하나니 못된 식물 같이 여김이니라
[8] 하나님이 나의 구하는 것을 얻게 하시며 나의 사모하는 것 주시기를 내가 원하나니
[9] 이는 곧 나를 멸하시기를 기뻐하사 그 손을 들어 나를 끊으실 것이라
하나님과 떨어져서 슬픈 자 (10-13)
[10] 그러할지라도 내가 오히려 위로를 받고 무정한 고통 가운데서도 기뻐할 것은 내가 거룩하신 이의 말씀을 거역지 아니하였음이니라
[11] 내가 무슨 기력이 있관대 기다리겠느냐 내 마지막이 어떠하겠관대 오히려 참겠느냐
[12] 나의 기력이 어찌 돌의 기력이겠느냐 나의 살이 어찌 놋쇠겠느냐
[13] 나의 도움이 내 속에 없지 아니하냐 나의 지혜가 내게서 쫓겨나지 아니하였느냐
▧ 묵상을 위한 질문
1. 욥은 엘리바스의 말을 듣고 어떤 반응을 보였나요?
2. 한탄하는 욥의 말은 무엇인가요?
▧ 본문해설
위로받지 못한 자 (1-9)
자신의 어려움만 무겁게 여기는 사람은 자기만 아는 사람입니다. 그런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쉽게 상처를 줍니다. 욥은 엘리바스의 말에 큰 상처를 받았습니다. 엘리바스는 욥의 처지를 이해하기보다 자신의 통찰력을 입증하려고 했기 때문입니다. 욥은 자신이 겪는 아픔과 원통함이 얼마나 큰지 객관적으로 증명하고 싶어 합니다. 그는 하나님이 자신을 죽이려고 독을 묻힌 화살을 쏘고 계시다고 느낍니다. 그래서 회복을 기대할 수도 없습니다. 빨리 죽음을 맞아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밖에 없습니다. 욥에게 주어진 고난은 결코 엘리바스가 말한 사랑의 매가 아닙니다. 엘리바스가 욥의 아픔을 더 이해했다면 진정한 위로를 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성도는 자신의 어려움은 가볍게 여기고, 다른 사람의 어려움은 무겁게 여기는 사람입니다.
하나님과 떨어져서 슬픈 자 (10-13)
이 세상에 쓸모없는 사람이란 없습니다. 누구나 존재할 이유가 있고 가치가 있습니다. 하지만 욥의 극심한 고통은 자신을 쓸모없는 사람이라 생각하게 만듭니다. 특히 하나님께 징벌받는다는 사실이 그를 힘들게 합니다. 욥은 누구보다도 하나님을 붙잡고 경건하게 살아왔습니다. 하나님 없는 삶은 생각해 보지도 않았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오히려 하나님께 공격당한다고 느끼는 처지입니다. 욥은 하나님을 떠난 것이 아닙니다. 그는 하나님의 말씀을 결코 거역하며 살지 않았다고 말합니다. 이는 자신의 의로움을 드러내려 함이 아니라,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기 위해 전력을 기울였다는 항변입니다. 이제까지 하나님께 힘을 받아 살아왔는데, 이제 욥은 살아갈 힘이 없습니다. 하나님과 떨어져 살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습니다.
▧ 적용
1. 가장 힘들 때 큰 위로가 되어 준 사람은 누구인가요?
2. 내 존재 가치와 이유, 내 힘의 근원은 어디에 있나요?
▧ 기도
눈에 보이는 복에만 마음을 두었음을 회개합니다. 고통이 더할수록 사람에게 많은 말을 하기보다 참 위로자 되신 하나님께 더 많이 간구하게 하시고, 고난이 축복임을 깨닫게 하소서.
반응형
'성경통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6/5,욥) - 하나님의 성품 바르게 적용하기(욥 11:1-9) (1) | 2014.06.05 |
---|---|
오늘의 QT(6/4,수) - 관성에 파묻힌 충고의 공허함(욥 8:1-10) (0) | 2014.06.04 |
오늘의 QT(6/2,월) - 깊은 절망, 정직한 고백(욥 3:1-10) (1) | 2014.06.02 |
오늘의 QT(6/1,일) - 주님이 인정하시는 신앙인(욥 1:1-12) (0) | 2014.06.01 |
6월 QT 범위표 (0) | 2014.06.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