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말씀 : 민수기 32:20 - 32:42
입에서 낸 대로 행함(20-32)
[20] 그러자 모세가 그들에게 말했습니다. “당신들이 지금 말한 대로 해야 하오. 당신들은 여호와 앞에서 전쟁에 나가야 하오.
[21] 당신들은 무기를 들고 요단 강을 건너야 하오. 여호와께서 원수를 쫓아 내실 것이오.
[22] 여호와께서 우리를 도우셔서 저 땅을 차지하게 하시면, 당신들은 집으로 돌아가도 좋소. 당신들은 여호와와 이스라엘에게 해야 할 의무를 다한 것이오. 그렇게 하기만 하면 이 땅을 가져도 좋소.
[23] 그러나 당신들이 그대로 하지 않으면, 당신들은 여호와께 죄를 짓는 것이오. 확실히 알아 두시오. 당신들은 당신들의 죄 때문에 벌을 받을 것이오.
[24] 당신들의 아내와 자식들을 위해 성을 쌓고, 가축을 위해 우리를 지으시오. 그러나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하오.”
[25]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이 모세에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당신의 종입니다. 우리는 어르신이 명령하신 대로 하겠습니다.
[26] 우리 아내와 자식과 우리의 모든 가축은 길르앗 성에 남겨 두겠습니다.
[27] 그러나 당신의 종인 우리는 전쟁에 나갈 준비를 해서, 어르신이 말씀하신 대로 여호와를 위해 싸우겠습니다.”
[28] 모세가 그들에 관하여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각 지파의 지도자들에게 명령을 내렸습니다.
[29] 모세가 그들에게 말했습니다. “만약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이 여호와 앞에서 전쟁에 나갈 준비를 하고, 여러분과 함께 요단 강을 건너 저 땅을 차지할 때까지 도와 주면, 여러분도 그들에게 길르앗 땅을 주시오.
[30] 그러나 만약 그들이 전쟁에 나갈 준비를 하지 않은 채 요단 강을 건너지 않으면, 이 땅을 주지 말고 여러분과 함께 가나안 땅을 얻게 하시오.”
[31]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이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당신의 종입니다. 우리는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하겠습니다.
[32] 우리는 전쟁 준비를 하고, 여호와 앞에서 요단 강을 건너 가나안으로 가겠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가질 땅은 요단 강 동쪽이 될 것입니다.”
공평한 분배(33-42)
[33] 그리하여 모세는 그 땅을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과 므낫세 지파 절반에게 주었습니다. 므낫세는 요셉의 아들입니다. 그 땅은 원래 아모리 사람 시혼과 바산 왕 옥의 나라였습니다. 그들 나라의 모든 성과 그 둘레의 땅도 그 땅에 포함됩니다.
[34] 갓 자손은 디본과 아다롯과 아로엘과
[35] 아다롯소반과 야셀과 욕브하와
[36] 벧니므라와 벧하란 성들을 새로 쌓았습니다. 이 성들은 굳건하고 성벽도 있는 성들입니다. 그들은 양의 우리도 만들었습니다.
[37] 르우벤 자손은 헤스본과 엘르알레와 기랴다임과
[38] 느보와 바알므온과 십마 성들을 쌓았습니다. 그들은 성을 쌓은 다음에 느보와 바알므온의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39] 므낫세의 아들 마길의 자손은 길르앗으로 가서 길르앗을 점령했습니다. 그들은 그 곳에 살던 아모리 사람을 쫓아 냈습니다.
[40] 그래서 모세는 길르앗을 므낫세의 아들 마길의 가족에게 주었습니다. 마길의 가족은 길르앗에 머물러 살았습니다.
[41] 므낫세의 아들 야일은 그 곳의 작은 마을들을 점령하고, 그 이름을 ‘야일 마을’이란 뜻으로 하봇야일이라고 불렀습니다.
[42] 노바는 그낫과 그 둘레의 작은 마을들을 점령하고, 자기 이름을 따서 그 이름을 노바라고 불렀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말한 것을 다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합니까?
2. 나는 지금 죄와 타협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 본문해설
입에서 낸 대로 행함(20-32)
모세는 르우벤과 갓 지파가 요구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 이스라엘 전체 회의를 열었습니다. 두 지파의 즉각적인 반응을 들은 모세는 다시 한 번 그들이 해야 할 행동에 대해 강조하였습니다. 이들은 다른 지파들과 함께 가나안 정복 전쟁에 참여하여 힘을 다해 싸워야 합니다. 이들은 모세가 말한 대로 요단을 건너 다른 지파들과 함께 싸우겠다고 약속하였습니다. 이들이 모세와 한 약속과 말은 하나님께 한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이들은 그 입에서 낸 말을 지켜 행해야 하였습니다. 만일 그렇게 하지 않으면 하나님께 범죄한 것이 되어 하나님이 그 죄에 대해 갚으실 것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도 입으로 한 말과 약속들은 모두 지켜야 합니다. 그 약속은 사람에게 한 것이기 이전에 하나님에게 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공평한 분배(33-42)
모세는 공식 절차를 거쳐서 르우벤과 갓 지파에게 요단강 동편 땅을 분배했고 그들은 그곳에 성읍을 짓고 거주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거주지에서 새로운 성읍을 건축하였는데 성읍을 지으면서 그 성읍의 이름을 고쳤습니다. 이들이 정착하게 되는 땅은 이방신을 섬겼던 곳으로 우상숭배의 흔적이 여러 군데 묻어 있었습니다. 특히 성읍의 이름이 우상을 숭배하는 이름들이 많았는데 이것부터 고쳐나갔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이 있는 곳에는 어떤 형태로든 새롭게 변화됩니다. 또 므낫세의 아들은 그 땅에 거하는 아모리인과 타협하지 않고 그들을 쫓아냈습니다. 이들은 이렇게 해서 자신들이 사는 땅을 온전히 하나님만 섬기는 곳으로 만들고자 한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이 존재하는 이유는 교회뿐 아니라 우리가 사는 사회를 변화시켜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향한 열망, 그리고 죄와 타협하지 않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것입니다. 내가 살아가는 삶의 현장에서도 이런 역사들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 적용
1. 공동체의 화합을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2. 해결하기 힘든 문제를 직면했을 때, 나는 나 자신의 힘보다 하나님의 지혜로 해결하려고 하는가?
▧ 오늘의 기도
하나님 앞에서 말한 것은 반드시 행하는 온전한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소서. 어려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지혜의 근원이신 하나님께 의지하게 하소서.
입에서 낸 대로 행함(20-32)
[20] 그러자 모세가 그들에게 말했습니다. “당신들이 지금 말한 대로 해야 하오. 당신들은 여호와 앞에서 전쟁에 나가야 하오.
[21] 당신들은 무기를 들고 요단 강을 건너야 하오. 여호와께서 원수를 쫓아 내실 것이오.
[22] 여호와께서 우리를 도우셔서 저 땅을 차지하게 하시면, 당신들은 집으로 돌아가도 좋소. 당신들은 여호와와 이스라엘에게 해야 할 의무를 다한 것이오. 그렇게 하기만 하면 이 땅을 가져도 좋소.
[23] 그러나 당신들이 그대로 하지 않으면, 당신들은 여호와께 죄를 짓는 것이오. 확실히 알아 두시오. 당신들은 당신들의 죄 때문에 벌을 받을 것이오.
[24] 당신들의 아내와 자식들을 위해 성을 쌓고, 가축을 위해 우리를 지으시오. 그러나 약속한 것은 반드시 지켜야 하오.”
[25]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이 모세에게 말했습니다. “우리는 당신의 종입니다. 우리는 어르신이 명령하신 대로 하겠습니다.
[26] 우리 아내와 자식과 우리의 모든 가축은 길르앗 성에 남겨 두겠습니다.
[27] 그러나 당신의 종인 우리는 전쟁에 나갈 준비를 해서, 어르신이 말씀하신 대로 여호와를 위해 싸우겠습니다.”
[28] 모세가 그들에 관하여 제사장 엘르아살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각 지파의 지도자들에게 명령을 내렸습니다.
[29] 모세가 그들에게 말했습니다. “만약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이 여호와 앞에서 전쟁에 나갈 준비를 하고, 여러분과 함께 요단 강을 건너 저 땅을 차지할 때까지 도와 주면, 여러분도 그들에게 길르앗 땅을 주시오.
[30] 그러나 만약 그들이 전쟁에 나갈 준비를 하지 않은 채 요단 강을 건너지 않으면, 이 땅을 주지 말고 여러분과 함께 가나안 땅을 얻게 하시오.”
[31]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이 대답했습니다. “우리는 당신의 종입니다. 우리는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대로 하겠습니다.
[32] 우리는 전쟁 준비를 하고, 여호와 앞에서 요단 강을 건너 가나안으로 가겠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가질 땅은 요단 강 동쪽이 될 것입니다.”
공평한 분배(33-42)
[33] 그리하여 모세는 그 땅을 갓 자손과 르우벤 자손과 므낫세 지파 절반에게 주었습니다. 므낫세는 요셉의 아들입니다. 그 땅은 원래 아모리 사람 시혼과 바산 왕 옥의 나라였습니다. 그들 나라의 모든 성과 그 둘레의 땅도 그 땅에 포함됩니다.
[34] 갓 자손은 디본과 아다롯과 아로엘과
[35] 아다롯소반과 야셀과 욕브하와
[36] 벧니므라와 벧하란 성들을 새로 쌓았습니다. 이 성들은 굳건하고 성벽도 있는 성들입니다. 그들은 양의 우리도 만들었습니다.
[37] 르우벤 자손은 헤스본과 엘르알레와 기랴다임과
[38] 느보와 바알므온과 십마 성들을 쌓았습니다. 그들은 성을 쌓은 다음에 느보와 바알므온의 이름을 바꾸었습니다.
[39] 므낫세의 아들 마길의 자손은 길르앗으로 가서 길르앗을 점령했습니다. 그들은 그 곳에 살던 아모리 사람을 쫓아 냈습니다.
[40] 그래서 모세는 길르앗을 므낫세의 아들 마길의 가족에게 주었습니다. 마길의 가족은 길르앗에 머물러 살았습니다.
[41] 므낫세의 아들 야일은 그 곳의 작은 마을들을 점령하고, 그 이름을 ‘야일 마을’이란 뜻으로 하봇야일이라고 불렀습니다.
[42] 노바는 그낫과 그 둘레의 작은 마을들을 점령하고, 자기 이름을 따서 그 이름을 노바라고 불렀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말한 것을 다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것이 필요합니까?
2. 나는 지금 죄와 타협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 본문해설
입에서 낸 대로 행함(20-32)
모세는 르우벤과 갓 지파가 요구한 문제를 처리하기 위해서 이스라엘 전체 회의를 열었습니다. 두 지파의 즉각적인 반응을 들은 모세는 다시 한 번 그들이 해야 할 행동에 대해 강조하였습니다. 이들은 다른 지파들과 함께 가나안 정복 전쟁에 참여하여 힘을 다해 싸워야 합니다. 이들은 모세가 말한 대로 요단을 건너 다른 지파들과 함께 싸우겠다고 약속하였습니다. 이들이 모세와 한 약속과 말은 하나님께 한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이들은 그 입에서 낸 말을 지켜 행해야 하였습니다. 만일 그렇게 하지 않으면 하나님께 범죄한 것이 되어 하나님이 그 죄에 대해 갚으실 것입니다. 이와 같이 우리도 입으로 한 말과 약속들은 모두 지켜야 합니다. 그 약속은 사람에게 한 것이기 이전에 하나님에게 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공평한 분배(33-42)
모세는 공식 절차를 거쳐서 르우벤과 갓 지파에게 요단강 동편 땅을 분배했고 그들은 그곳에 성읍을 짓고 거주하게 되었습니다. 이들은 거주지에서 새로운 성읍을 건축하였는데 성읍을 지으면서 그 성읍의 이름을 고쳤습니다. 이들이 정착하게 되는 땅은 이방신을 섬겼던 곳으로 우상숭배의 흔적이 여러 군데 묻어 있었습니다. 특히 성읍의 이름이 우상을 숭배하는 이름들이 많았는데 이것부터 고쳐나갔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백성이 있는 곳에는 어떤 형태로든 새롭게 변화됩니다. 또 므낫세의 아들은 그 땅에 거하는 아모리인과 타협하지 않고 그들을 쫓아냈습니다. 이들은 이렇게 해서 자신들이 사는 땅을 온전히 하나님만 섬기는 곳으로 만들고자 한 것입니다. 그리스도인이 존재하는 이유는 교회뿐 아니라 우리가 사는 사회를 변화시켜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그것은 하나님의 영광을 향한 열망, 그리고 죄와 타협하지 않는 것을 통해 이루어질 것입니다. 내가 살아가는 삶의 현장에서도 이런 역사들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해야 하겠습니다.
▧ 적용
1. 공동체의 화합을 위해서 나는 무엇을 할 것인가?
2. 해결하기 힘든 문제를 직면했을 때, 나는 나 자신의 힘보다 하나님의 지혜로 해결하려고 하는가?
▧ 오늘의 기도
하나님 앞에서 말한 것은 반드시 행하는 온전한 그리스도인이 되게 하소서. 어려운 문제가 발생했을 때, 지혜의 근원이신 하나님께 의지하게 하소서.
반응형
'구약 >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7/5,금) - 하나님의 나라의 원칙(민 33:50-34:29) (1) | 2013.07.05 |
---|---|
오늘의 QT(7/4,목) - 하나님의 능력과 은혜를 추억하라(민 33:1-49) (1) | 2013.07.04 |
오늘의 QT(7/2,화) - 공동체를 위한 삶(민 32:1-19) (2) | 2013.07.02 |
오늘의 QT(7/1,월) - 공정한 분배와 공동체 의식(민 31:25-54) (2) | 2013.07.01 |
오늘의 QT(6/30,일) - 여호와의 원수를 갚으라(민 31:1-24) (0) | 2013.06.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