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말씀 : 여호수아 8:24-35
완전한 승리와 영원한 파멸(24-29)
[24] 이스라엘 군대는 광야 벌판에서 그들을 추격하던 아이 사람들을 다 죽였습니다. 그들 모두를 칼로 죽이고 다시 아이로 되돌아와 그 곳에 있는 사람들을 전부 칼로 죽였습니다.
[25] 그 날 아이의 모든 백성들이 다 죽었는데, 남자와 여자를 합해 만 이천 명의 사람이 죽었습니다.
[26] 여호수아는 창을 치켜들고 있던 손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여호수아는 아이의 모든 백성들을 다 죽일 때까지 창을 치켜들고 있었습니다.
[27] 이스라엘 백성은 동물들은 죽이지 않고 자기들이 가졌습니다. 또 아이 사람들이 가지고 있었던 물건들도 가졌습니다. 그들은 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명령하신 대로 하였습니다.
[28] 그리고 나서 여호수아는 아이 성을 불태웠습니다. 아이 성은 쓰레기더미가 되어 버렸습니다. 오늘날까지도 아이 성은 그런 모습으로 남아 있습니다.
[29] 여호수아는 아이 성의 왕을 저녁까지 나무에 매달아 놓았습니다. 해가 질 무렵, 여호수아는 왕의 시체를 나무에서 끌어내려 성문 아래로 던지라고 말했습니다. 사람들은 그것을 성문 아래로 던진 후, 돌로 시체를 덮었습니다. 그 돌무더기는 오늘날까지도 그 곳에 있습니다.
축복과 저주의 언약(30-35)
[30] 그후에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해 에발 산에 제단을 쌓았습니다.
[31] 그것은 여호와의 종인 모세가 명령한 대로였습니다. 여호수아는 모세의 율법책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단을 쌓았습니다. 그 제단은 쇠 연장으로 다듬지 않은 자연석으로 만들어졌는데,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 제단 위에서 여호와께 태워 드리는 제사인 번제와 화목제를 드렸습니다.
[32] 그 곳에서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의 모든 백성들이 보는 앞에서 모세가 썼던 율법을 돌에 새겼습니다.
[33] 장로와 지도자와 재판관과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이 언약궤를 가운데 두고 섰습니다. 그들은 그 언약궤를 멘 레위 사람 제사장들 앞에 섰으며 이스라엘 사람들과 이방 사람들도 모두 그 곳에 섰습니다. 백성 중 절반은 에발 산 앞에 섰고, 나머지 절반은 그리심 산 앞에 섰습니다. 그들은 전에 모세가 백성을 위해 복을 빌 때, 그렇게 하라고 명령했던 대로 했습니다.
[34] 그 뒤에 여호수아는 율법책에 적혀 있는 대로 복과 저주의 말씀을 모두 읽었습니다.
[35]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 모였습니다. 여자들과 어린이들과 이스라엘 사람들과 함께 사는 이방 사람들도 그 곳에 모였습니다. 여호수아는 모세가 준 명령을 빠짐없이 읽었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하나님께서 악인을 완전히 멸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왜 에발 산과 그리심 산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낭독했습니까?
▧ 본문해설
완전한 승리와 영원한 파멸(24-29)
여호수아는 하나님의 명령을 좇아 승리를 얻을 때까지 단창을 내리지 않았고, 결국 이스라엘은 완전한 승리를 얻었습니다. 아이 성의 모든 군사들과 주민들은 모두 죽임을 당하였습니다. 그리고 모든 전리품들을 다 취했습니다. 왕의 시체는 저주의 상징으로 나무에 달렸고, 성문 어귀에 던져졌습니다. 아이 성은 완전히 멸망당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을 대적하여 공격하고 승리로 교만해졌던 아이 성을 하나님은 무섭게 심판하셨습니다. 하나님을 대적하는 악의 세력은 모두 영원히 멸망당할 것입니다.
축복과 저주의 언약(30-35)
이스라엘 백성들은 에발산과 그리심 산에서 언약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믿음을 확고히 합니다. 여호수아는 모세의 명을 좇아(신 11:26-30) 제단을 만들고 번제화 화목제를 드리고, 돌위에 율법을 새겼습니다. 그리고 그는 여호와의 궤를 중심으로 백성을 두 편으로 나눠서 두 산 사이에 서게 하였고, 제사장들은 율법이 축복과 저주의 말씀을 읽었습니다. 에발 산은 저주, 그리심 산은 축복의 상징이었습니다. 축복과 저주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선택에 달렸습니
다. 축복과 저주는 항상 우리가 어느 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 적용
1. 나는 악인의 형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2. 나는 오늘 축복과 저주, 어느 편을 선택하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나를 대적하는 상대에게 맞서고 싸우기보다는 완전한 승리를 주시는 주님을 신뢰하고 오직 말씀에 순종함으로 축복의 길을 걷게 하소서.
완전한 승리와 영원한 파멸(24-29)
[24] 이스라엘 군대는 광야 벌판에서 그들을 추격하던 아이 사람들을 다 죽였습니다. 그들 모두를 칼로 죽이고 다시 아이로 되돌아와 그 곳에 있는 사람들을 전부 칼로 죽였습니다.
[25] 그 날 아이의 모든 백성들이 다 죽었는데, 남자와 여자를 합해 만 이천 명의 사람이 죽었습니다.
[26] 여호수아는 창을 치켜들고 있던 손을 내리지 않았습니다. 여호수아는 아이의 모든 백성들을 다 죽일 때까지 창을 치켜들고 있었습니다.
[27] 이스라엘 백성은 동물들은 죽이지 않고 자기들이 가졌습니다. 또 아이 사람들이 가지고 있었던 물건들도 가졌습니다. 그들은 여호와께서 여호수아에게 명령하신 대로 하였습니다.
[28] 그리고 나서 여호수아는 아이 성을 불태웠습니다. 아이 성은 쓰레기더미가 되어 버렸습니다. 오늘날까지도 아이 성은 그런 모습으로 남아 있습니다.
[29] 여호수아는 아이 성의 왕을 저녁까지 나무에 매달아 놓았습니다. 해가 질 무렵, 여호수아는 왕의 시체를 나무에서 끌어내려 성문 아래로 던지라고 말했습니다. 사람들은 그것을 성문 아래로 던진 후, 돌로 시체를 덮었습니다. 그 돌무더기는 오늘날까지도 그 곳에 있습니다.
축복과 저주의 언약(30-35)
[30] 그후에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를 위해 에발 산에 제단을 쌓았습니다.
[31] 그것은 여호와의 종인 모세가 명령한 대로였습니다. 여호수아는 모세의 율법책에 설명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단을 쌓았습니다. 그 제단은 쇠 연장으로 다듬지 않은 자연석으로 만들어졌는데, 이스라엘 사람들은 그 제단 위에서 여호와께 태워 드리는 제사인 번제와 화목제를 드렸습니다.
[32] 그 곳에서 여호수아는 이스라엘의 모든 백성들이 보는 앞에서 모세가 썼던 율법을 돌에 새겼습니다.
[33] 장로와 지도자와 재판관과 모든 이스라엘 사람들이 언약궤를 가운데 두고 섰습니다. 그들은 그 언약궤를 멘 레위 사람 제사장들 앞에 섰으며 이스라엘 사람들과 이방 사람들도 모두 그 곳에 섰습니다. 백성 중 절반은 에발 산 앞에 섰고, 나머지 절반은 그리심 산 앞에 섰습니다. 그들은 전에 모세가 백성을 위해 복을 빌 때, 그렇게 하라고 명령했던 대로 했습니다.
[34] 그 뒤에 여호수아는 율법책에 적혀 있는 대로 복과 저주의 말씀을 모두 읽었습니다.
[35] 이스라엘 사람들이 다 모였습니다. 여자들과 어린이들과 이스라엘 사람들과 함께 사는 이방 사람들도 그 곳에 모였습니다. 여호수아는 모세가 준 명령을 빠짐없이 읽었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하나님께서 악인을 완전히 멸하시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왜 에발 산과 그리심 산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낭독했습니까?
▧ 본문해설
완전한 승리와 영원한 파멸(24-29)
여호수아는 하나님의 명령을 좇아 승리를 얻을 때까지 단창을 내리지 않았고, 결국 이스라엘은 완전한 승리를 얻었습니다. 아이 성의 모든 군사들과 주민들은 모두 죽임을 당하였습니다. 그리고 모든 전리품들을 다 취했습니다. 왕의 시체는 저주의 상징으로 나무에 달렸고, 성문 어귀에 던져졌습니다. 아이 성은 완전히 멸망당했습니다. 하나님의 백성을 대적하여 공격하고 승리로 교만해졌던 아이 성을 하나님은 무섭게 심판하셨습니다. 하나님을 대적하는 악의 세력은 모두 영원히 멸망당할 것입니다.
축복과 저주의 언약(30-35)
이스라엘 백성들은 에발산과 그리심 산에서 언약을 다시 한번 확인하고 믿음을 확고히 합니다. 여호수아는 모세의 명을 좇아(신 11:26-30) 제단을 만들고 번제화 화목제를 드리고, 돌위에 율법을 새겼습니다. 그리고 그는 여호와의 궤를 중심으로 백성을 두 편으로 나눠서 두 산 사이에 서게 하였고, 제사장들은 율법이 축복과 저주의 말씀을 읽었습니다. 에발 산은 저주, 그리심 산은 축복의 상징이었습니다. 축복과 저주는 이스라엘 백성들의 선택에 달렸습니
다. 축복과 저주는 항상 우리가 어느 편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결정됩니다.
▧ 적용
1. 나는 악인의 형통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가?
2. 나는 오늘 축복과 저주, 어느 편을 선택하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나를 대적하는 상대에게 맞서고 싸우기보다는 완전한 승리를 주시는 주님을 신뢰하고 오직 말씀에 순종함으로 축복의 길을 걷게 하소서.
반응형
'구약 > 여호수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3/19,화) - 탄로난 거짓말(수 9:16-27) (0) | 2013.03.19 |
---|---|
오늘의 QT(3/18,월) - 기도하지 않는 지도자(수 9:1-15) (0) | 2013.03.18 |
오늘의 QT(11/19,금) - 승리의 작전(수 8:14-23) (0) | 2013.03.15 |
오늘의 QT(3/14,목) - 실패를 통한 회복(수 8:1-13) (0) | 2013.03.14 |
오늘의 QT(3/13,수) - 악의 옷을 제하라(수 7:19-26) (0) | 2013.03.1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