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말씀 : 고린도전서 7:17 - 7:24
할례자와 무할례자(17-19)
17오직 주께서 각 사람에게 나눠주신 대로 하나님이 각 사람을 부르신 그대로 행하라 내가 모든 교회에서 이와 같이 명하노라 18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무할례자가 되지 말며 무할례자로 부르심을 받은 자가 있느냐 할례를 받지 말라 19할례 받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요 할례 받지 아니하는 것도 아무 것도 아니로되 오직 하나님의 계명을 지킬 따름이니라
종과 자유자(20-24)
20각 사람이 부르심을 받은 그 부르심 그대로 지내라 21네가 종으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았느냐 염려하지 말라 그러나 자유할 수 있거든 차라리 사용하라 22주 안에서 부르심을 받은 자는 종이라도 주께 속한 자유자요 또 이와 같이 자유자로 있을 때에 부르심을 받은 자는 그리스도의 종이니라 23너희는 값으로 사신 것이니 사람들의 종이 되지 말라 24형제들아 각각 부르심을 받은 그대로 하나님과 함께 거하라
▧ 묵상을 위한 질문
1. 나를 부르신 하나님의 부르심의 목적을 잘 깨닫고 있습니까?
2. 나는 사람의 종입니까? 하나님의 종입니까?
▧ 본문해설
할례자와 무할례자(17-19)
바울은 각 사람이 하나님이 자기를 부르신 그대로 있는 것이 좋다고 권면했습니다. 특별히 바울은 당시 초대교회 내에서 유대인과 이방인간에 대립의 요소가 된 할례 문제를 예로 들어 유대인이든 이방인이든 하나님이 부르신 그 상황 하에서 하나님만을 섬기도록 충고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성도는 세상적으로 보다 높고 더 낫다고 여겨지는 사회적 지위를 얻기 위해 애쓰는 대신에 하나님의 부르심을 감사하며, 주어진 지위 속에서 하나님의 선하신 뜻을 찾는 것이 더 바람직합니다.
종과 자유자(20-24)
종이냐, 자유자냐 하는 문제는 할례와 무할례의 문제와는 달리 당시의 사회적인 지위 부분입니다. 당시 초대교회에는 성도들 중 대다수가 노예였습니다. 그러므로 목회자의 입장에서 노예와 상전의 문제는 매우 심각했습니다. 이에 바울은 노예로서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은 자신을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로운 사람으로 여기고, 자유자는 도리어 자신을 그리스도의 종으로 여겨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것은 각 개인이 하나님께 어떤 책임이 있는가를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 적용
1. 나는 직장이나 교회 내에서 작은 문제로 다른 사람과 대립하거나 감정이 상한 일이 있는가?
2. 나는 지금 어떤 형편에 처해 있는지 그것에 감사하고 나에게 주어진 직무를 잘 감당하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나를 그리스도 안에서 자유하게 하신 주님께 날마다 헌신하게 하소서. 현재의 신분에 얽매이기보다는 사명자로서의 삶을 충실히 살게 하소서.
'신약 > 고린도전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7/27,수) - 사랑으로 형제를 대하라(고전 8:1-13) (3) | 2011.07.27 |
---|---|
오늘의 QT(7/26,화) - 결혼과 독신(고전 7:25-40) (4) | 2011.07.26 |
오늘의 QT(7/24,일) - 결혼과 성(고전 7:1-16) (4) | 2011.07.24 |
오늘의 QT(7/22,금) - 너희 몸은 하나님의 성전임(고전 6:12-20) (5) | 2011.07.22 |
오늘의 QT(7/21,목) - 성도의 존귀함(고전 6:1-11) (4) | 2011.07.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