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말씀 : 사무엘상 4:1b - 4:11
법궤를 의지하는 백성들(1-4)
1b 이스라엘은 나가서 블레셋 사람들과 싸우려고 에벤에셀 곁에 진 치고 블레셋 사람들은 아벡에 진 쳤더니 2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에 대하여 전열을 벌이니라 그 둘이 싸우다가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들 앞에서 패하여 그들에게 전쟁에서 죽임을 당한 군사가 사천 명 가량이라 3 백성이 진영으로 돌아오매 이스라엘 장로들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어찌하여 우리에게 오늘 블레셋 사람들 앞에 패하게 하셨는고 여호와의 언약궤를 실로에서 우리에게로 가져다가 우리 중에 있게 하여 그것으로 우리를 우리 원수들의 손에서 구원하게 하자 하니 4 이에 백성이 실로에 사람을 보내어 그룹 사이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의 언약궤를 거기서 가져왔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하나님의 언약궤와 함께 거기에 있었더라
전쟁에 패한 이스라엘(5-11)
5 여호와의 언약궤가 진영에 들어올 때에 온 이스라엘이 큰 소리로 외치매 땅이 울린지라 6 블레셋 사람이 그 외치는 소리를 듣고 이르되 히브리 진영에서 큰 소리로 외침은 어찌 됨이냐 하다가 여호와의 궤가 진영에 들어온 줄을 깨달은지라 7 블레셋 사람이 두려워하여 이르되 신이 진영에 이르렀도다 하고 또 이르되 우리에게 화로다 전날에는 이런 일이 없었도다 8 우리에게 화로다 누가 우리를 이 능한 신들의 손에서 건지리요 그들은 광야에서 여러 가지 재앙으로 애굽인을 친 신들이니라 9 너희 블레셋 사람들아 강하게 되며 대장부가 되라 너희가 히브리 사람의 종이 되기를 그들이 너희의 종이 되었던 것 같이 되지 말고 대장부 같이 되어 싸우라 하고 10 블레셋 사람들이 쳤더니 이스라엘이 패하여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고 살륙이 심히 커서 이스라엘 보병의 엎드러진 자가 삼만 명이었으며 11 하나님의 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죽임을 당하였더라
▧ 묵상을 위한 질문
1. 왜 이스라엘 백성들은 전쟁에서 패하자 법궤를 가져오기로 했습니까?
2. 이스라엘이 전쟁에서 참패한 가장 중요한 원인은 무엇입니까?
▧ 본문해설
법궤를 의지하는 백성들(1-4)
블레셋과의 전쟁의 배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시는 이스라엘에 왕정이 시작되기 바로 직전인 마지막 사사시대였습니다. 사사기에서 이스라엘을 가장 괴롭힌 나라는 블레셋이었고, 실제로 사무엘서에 나타나는 이스라엘의 적은 주로 블레셋이었습니다. 당시 블레셋은 이스라엘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었고, 삼손 시대에는 이에 대해 거의 저항을 하지 않았습니다(참고 삿 15:11). 그런데 삼손이 저항함으로 두 나라 사이에 적대관계가 성립되었고, 블레셋은 이스라엘을 향해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하게 된 것입니다.
“이스라엘은 나가서 블레셋 사람과 싸우려고 에벤에셀 곁에 진치고 블레셋 사람은 아벡에 진쳤”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하나님의 권고도 대제사장이나 선지자의 찬동도 없이 이 원정을 시도하였다.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을 대하여 항오를 벌이니라 그 둘이 싸우다가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 앞에서 패하여 그들에게 전장에서 죽임을 당한 군사가 4천명 가량이라.” 사방으로 흩어지고 낙담한 군대가 진으로 돌아올 때에 “이스라엘 장로들이 가로되 여호와께서 어찌하여 우리로 오늘 블레셋 사람 앞에 패하게 하셨는고”라고 말하였다. 온 나라가 하나님의 형벌을 받을 만큼 그들의 죄가 무르익었는데도 그들은 아직도 자신들의 죄가 이 무서운 재난의 원인이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였다. 그들은 말하기를 “여호와의 궤를 실로에서 우리에게로 가져다가 우리 중에 있게 하여 그것으로 우리를 우리 원수들의 손에서 구원하게 하자”고 하였다. 여호와께서는 법궤를 진지로 가져가도록 명령하지도 않으셨고 허락하지도 않으셨다. 그러나 아직도 이스라엘 사람들은 승리가 저희 것이 되리라는 확신을 가지고 엘리의 아들들이 법궤를 진 중으로 가져올 때 큰 환호성을 올렸다”(부조, 583).
전쟁에 패한 이스라엘(5-11)
“블레셋 사람은 법궤를 이스라엘의 신이라고 생각하고 바라보았다. 여호와께서 당신의 백성을 위하여 행하셨던 모든 기적들은 법궤의 권세의 덕분으로 간주되었다. 법궤가 도착할 때의 기쁨의 부르짖음을 듣고 그들은 “히브리 진에서 큰소리로 외침은 어찜이뇨 하다가 여호와의 궤가 진에 들어온 줄을 깨달은지라 블레셋 사람이 두려워하여 가로되 신이 진에 이르렀도다 하고 또 가로되 우리에게 화로다 전일에는 이런 일이 없었도다 우리에게 화로다 누가 우리를 이 능한 신들의 손에서 건지리요 그들은 광야에서 여러 가지 재앙으로 애굽인을 친 신들이니라 너희 블레셋 사람들아 강하게 되며 대장부가 되어라 너희가 히브리 사람의 종이 되기를 그들이 너희의 종이 되었던 것같이 말고 대장부같이 되어 싸우라”고 말하였다.
블레셋 사람이 맹렬한 공격을 가했고 그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은 큰 살육과 패배를 당했다. 군사 3만명이 싸움터에서 죽어 넘어지고 하나님의 법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들은 법궤를 방어하려고 싸우는 동안에 죽임을 당하였다”(부조, 583).
어린 사무엘에게 말씀하셨던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전쟁에 패했을 뿐아니라 거룩한 법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들은 전장에서 죽임을 당하였습니다.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길은 하나님을 의지하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지도자들과 백성들은 하나님을 의지하기보다는 자신들을 의지하는 교만에 빠졌고 결국 비참한 운명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 적용
1. 오늘 나는 하나님을 의지하며 살아가는가? 아니면 내 생각과 인간적인 방법을 의지하는가?
2. 하나님을 떠난 인간은 삶에 전쟁터에서 승리할 수 있는가?
▧ 오늘의 기도
나의 삶 속에서 나의 지혜와 능력을 의지하는 태도를 버리고 오직 전능하신 하나님을 신뢰하며 의지하게 하소서.
※ 참고자료 바로가기 ☞ 빛을 전한 사람들 p581-592 (삼상 3장-7장)
법궤를 의지하는 백성들(1-4)
1b 이스라엘은 나가서 블레셋 사람들과 싸우려고 에벤에셀 곁에 진 치고 블레셋 사람들은 아벡에 진 쳤더니 2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에 대하여 전열을 벌이니라 그 둘이 싸우다가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들 앞에서 패하여 그들에게 전쟁에서 죽임을 당한 군사가 사천 명 가량이라 3 백성이 진영으로 돌아오매 이스라엘 장로들이 이르되 여호와께서 어찌하여 우리에게 오늘 블레셋 사람들 앞에 패하게 하셨는고 여호와의 언약궤를 실로에서 우리에게로 가져다가 우리 중에 있게 하여 그것으로 우리를 우리 원수들의 손에서 구원하게 하자 하니 4 이에 백성이 실로에 사람을 보내어 그룹 사이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의 언약궤를 거기서 가져왔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하나님의 언약궤와 함께 거기에 있었더라
전쟁에 패한 이스라엘(5-11)
5 여호와의 언약궤가 진영에 들어올 때에 온 이스라엘이 큰 소리로 외치매 땅이 울린지라 6 블레셋 사람이 그 외치는 소리를 듣고 이르되 히브리 진영에서 큰 소리로 외침은 어찌 됨이냐 하다가 여호와의 궤가 진영에 들어온 줄을 깨달은지라 7 블레셋 사람이 두려워하여 이르되 신이 진영에 이르렀도다 하고 또 이르되 우리에게 화로다 전날에는 이런 일이 없었도다 8 우리에게 화로다 누가 우리를 이 능한 신들의 손에서 건지리요 그들은 광야에서 여러 가지 재앙으로 애굽인을 친 신들이니라 9 너희 블레셋 사람들아 강하게 되며 대장부가 되라 너희가 히브리 사람의 종이 되기를 그들이 너희의 종이 되었던 것 같이 되지 말고 대장부 같이 되어 싸우라 하고 10 블레셋 사람들이 쳤더니 이스라엘이 패하여 각기 장막으로 도망하였고 살륙이 심히 커서 이스라엘 보병의 엎드러진 자가 삼만 명이었으며 11 하나님의 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죽임을 당하였더라
▧ 묵상을 위한 질문
1. 왜 이스라엘 백성들은 전쟁에서 패하자 법궤를 가져오기로 했습니까?
2. 이스라엘이 전쟁에서 참패한 가장 중요한 원인은 무엇입니까?
▧ 본문해설
법궤를 의지하는 백성들(1-4)
블레셋과의 전쟁의 배경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당시는 이스라엘에 왕정이 시작되기 바로 직전인 마지막 사사시대였습니다. 사사기에서 이스라엘을 가장 괴롭힌 나라는 블레셋이었고, 실제로 사무엘서에 나타나는 이스라엘의 적은 주로 블레셋이었습니다. 당시 블레셋은 이스라엘을 완전히 장악하고 있었고, 삼손 시대에는 이에 대해 거의 저항을 하지 않았습니다(참고 삿 15:11). 그런데 삼손이 저항함으로 두 나라 사이에 적대관계가 성립되었고, 블레셋은 이스라엘을 향해 대대적인 공격을 감행하게 된 것입니다.
“이스라엘은 나가서 블레셋 사람과 싸우려고 에벤에셀 곁에 진치고 블레셋 사람은 아벡에 진쳤”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하나님의 권고도 대제사장이나 선지자의 찬동도 없이 이 원정을 시도하였다. 블레셋 사람들이 “이스라엘을 대하여 항오를 벌이니라 그 둘이 싸우다가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 앞에서 패하여 그들에게 전장에서 죽임을 당한 군사가 4천명 가량이라.” 사방으로 흩어지고 낙담한 군대가 진으로 돌아올 때에 “이스라엘 장로들이 가로되 여호와께서 어찌하여 우리로 오늘 블레셋 사람 앞에 패하게 하셨는고”라고 말하였다. 온 나라가 하나님의 형벌을 받을 만큼 그들의 죄가 무르익었는데도 그들은 아직도 자신들의 죄가 이 무서운 재난의 원인이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하였다. 그들은 말하기를 “여호와의 궤를 실로에서 우리에게로 가져다가 우리 중에 있게 하여 그것으로 우리를 우리 원수들의 손에서 구원하게 하자”고 하였다. 여호와께서는 법궤를 진지로 가져가도록 명령하지도 않으셨고 허락하지도 않으셨다. 그러나 아직도 이스라엘 사람들은 승리가 저희 것이 되리라는 확신을 가지고 엘리의 아들들이 법궤를 진 중으로 가져올 때 큰 환호성을 올렸다”(부조, 583).
전쟁에 패한 이스라엘(5-11)
“블레셋 사람은 법궤를 이스라엘의 신이라고 생각하고 바라보았다. 여호와께서 당신의 백성을 위하여 행하셨던 모든 기적들은 법궤의 권세의 덕분으로 간주되었다. 법궤가 도착할 때의 기쁨의 부르짖음을 듣고 그들은 “히브리 진에서 큰소리로 외침은 어찜이뇨 하다가 여호와의 궤가 진에 들어온 줄을 깨달은지라 블레셋 사람이 두려워하여 가로되 신이 진에 이르렀도다 하고 또 가로되 우리에게 화로다 전일에는 이런 일이 없었도다 우리에게 화로다 누가 우리를 이 능한 신들의 손에서 건지리요 그들은 광야에서 여러 가지 재앙으로 애굽인을 친 신들이니라 너희 블레셋 사람들아 강하게 되며 대장부가 되어라 너희가 히브리 사람의 종이 되기를 그들이 너희의 종이 되었던 것같이 말고 대장부같이 되어 싸우라”고 말하였다.
블레셋 사람이 맹렬한 공격을 가했고 그로 인해 이스라엘 백성은 큰 살육과 패배를 당했다. 군사 3만명이 싸움터에서 죽어 넘어지고 하나님의 법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들은 법궤를 방어하려고 싸우는 동안에 죽임을 당하였다”(부조, 583).
어린 사무엘에게 말씀하셨던 예언이 그대로 성취되었습니다. 이스라엘은 전쟁에 패했을 뿐아니라 거룩한 법궤는 빼앗겼고, 엘리의 두 아들들은 전장에서 죽임을 당하였습니다. 전쟁에서 이길 수 있는 유일한 길은 하나님을 의지하는 것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당시 지도자들과 백성들은 하나님을 의지하기보다는 자신들을 의지하는 교만에 빠졌고 결국 비참한 운명에 처하게 되었습니다.
▧ 적용
1. 오늘 나는 하나님을 의지하며 살아가는가? 아니면 내 생각과 인간적인 방법을 의지하는가?
2. 하나님을 떠난 인간은 삶에 전쟁터에서 승리할 수 있는가?
▧ 오늘의 기도
나의 삶 속에서 나의 지혜와 능력을 의지하는 태도를 버리고 오직 전능하신 하나님을 신뢰하며 의지하게 하소서.
※ 참고자료 바로가기 ☞ 빛을 전한 사람들 p581-592 (삼상 3장-7장)
반응형
'구약 > 사무엘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5/5,목) - 블레셋 사람에게 빼앗긴 언약궤(삼상 5:1-12) (3) | 2011.05.05 |
---|---|
오늘의 QT(5/4,수) - 하나님의 영광이 떠난 시대(삼상 4:12-22) (2) | 2011.05.04 |
오늘의 QT(5/2,월) - 말씀하옵소서 주의 종이 듣겠나이다(삼상 3:10-4:1a) (4) | 2011.05.02 |
오늘의 QT(5/1,일) - 하나님의 음성을 듣는 사무엘(삼상 3:1-9) (5) | 2011.05.01 |
5월 QT표 (0) | 2011.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