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늘의 말씀 : 로마서 5:12-21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12-14)
[12] <아담과 그리스도> 그러므로 한 사람을 통해 죄가 세상에 들어왔고 그 죄를 통해 사망이 들어온 것처럼, 모든 사람이 죄를 지었으므로 사망이 모든 사람에게 이르렀습니다.
[13] 하나님께서 율법을 주시기 전에도 죄가 세상에 있었지만, 율법이 없을 때에는 죄를 죄로 여기지 않았습니다.
[14] 그러나 사망은 아담 시대부터 모세 시대에 이르기까지, 심지어 아담이 지은 죄와 똑같은 죄를 짓지 않은 사람들마저 지배하였습니다. 아담은 장차 오실 분의 모형입니다.
모든 사람이 의롭다하심을 받음(15-21)
[15] 하지만 하나님께서 주시는 은혜는 아담이 지은 죄와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많은 사람이 그 한 사람의 죄 때문에 죽었다면, 한 사람 예수 그리스도의 은혜로 인한 하나님의 은혜와 선물은 많은 사람에게 더욱 넘쳤습니다.
[16] 또한 하나님의 선물과 아담의 죄는 차이가 있습니다. 한 사람의 죄 때문에 심판이 오게 되고 모든 사람을 정죄에 이르게 했으나, 하나님의 은혜의 선물은 많은 범죄 때문에 오게 되어 많은 사람에게 의롭다 함을 받게 하였습니다.
[17] 한 사람의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왕노릇 하였다면, 하나님의 넘치는 은혜와 의롭다고 여기시는 선물을 받는 사람들은, 한 분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참생명 안에서 더더욱 왕노릇 하게 될 것입니다.
[18] 그러므로 한 사람의 범죄 때문에 모든 사람이 죄인이 되었지만, 한 사람의 의로운 행동 때문에 모든 사람에게 생명을 낳게 하는 의로움이 발생했습니다.
[19] 한 사람의 불순종으로 많은 사람이 죄인이 되었듯이, 한 사람의 순종으로 많은 사람이 의인이 될 것입니다.
[20] 율법은 범죄를 증가시키려고 들어왔습니다. 그러나 죄가 많아진 곳에 하나님의 은혜가 더욱 넘치게 되었습니다.
[21] 죄가 사망 안에서 왕노릇 하였듯이, 은혜는 의를 통해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영생을 얻게 하기 위해 왕노릇 할 것입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이 세상에 죄가 어떻게 들어오게 되었습니까?
2.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넘쳤다’는 말이 무슨 말입니까?
▨ 본문해설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12-14)
오늘 본문은 모든 사람이 죄인이라는 사실을 아담의 대표 원리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앞에서는 사람이 죄를 지었기 때문에 죄인이라고 말합니다(1:18-3:20). 그런데 여기서 바울은 더 근본적으로 우리가 아담의 후손이기 때문에 죄인이라고 말합니다. 아담 한 사람의 범죄함으로 우리 모두가 죄를 범한 사람이 되었고, 또 죄로 말미암아 사망이 오게 되었습니다. 율법이 있을 때는 율법으로 죄인인 것을 알았지만(3:20) 율법이 없어 죄를 죄로 여기지 않을 때에도 죄와 사망은 있었습니다. 율법 이전의 사람들도 아담의 후손이기 때문입니다(창 5:3). 이를 통해 볼 때 아담은 예수님이 와야 한다는 것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인물입니다. 이러한 사실을 통하여 우리가 죄인이며, 그리스도의 은혜가 필요한 자임을 바울은 말하고 있습니다.
모든 사람이 의롭다하심을 받음(15-21)
아담 한 사람의 행동으로 말미암아 죄가 세상에 들어온 것처럼 예수님의 의의 한 행동으로 말미암아 의와 생명이 들어오게 되었습니다. 한 사람(아담)의 순종치 아니함으로 많은 사람이 죄인이 된 것 같이, 한 사람(예수 그리스도)의 순종하심으로 많은 사람이 의인이 되었습니다. 이와 같이 죄가 더한 곳에 은혜가 더욱 넘치게 되었습니다. 이 말은 죄의 권세보다 은혜의 권세가 더 강하다는 말입니다. 죄는 사망으로 우리를 지배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은혜는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 가운데 생명으로 역사합니다. 우리는 이와 같이 죄와 은혜의 두 권세 아래 살고 있습니다. 우리가 그리스도의 은혜 안에 있을 때 죄와 사망의 권세는 물러납니다. 죄보다 은혜가 더 강합니다.
▨ 적용
1. 나는 아담 안에서 죄인이고, 그리스도 안에서 의인이 됨을 믿는가?
2. 내가 끊어야 할 죄의 권세는 어떤 것이 있는가?
▨ 오늘의 기도
아담 안에서 죽은 우리에게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새 생명을 주신 은혜에 감사드리오며, 은혜 안에서 죄의 모든 습성을 끊게 하소서.
'오늘의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교교과 QT(11/8,수) - 영원한 대제사장 예수(히 7:11-28) (0) | 2017.11.08 |
---|---|
안교교과 QT(11/7,화) - 근신하고 기도하라(벧전 4:7-19) (0) | 2017.11.07 |
안교교과 QT(11/5,일) - 6과 아담과 예수님(롬 5:1-11) (0) | 2017.11.05 |
안교교과 QT(11/3,금) - 하늘로부터 오는 지혜(약 3:13-18) (0) | 2017.11.03 |
안교교과 QT(11/2,목) - 올바른 혀의 사용(약 3:1-12) (0) | 2017.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