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 오늘의 말씀 : 민수기 26:52 - 26:65
제비뽑아 기업을 나누라(52-56)
[52]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53] “이름을 적은 백성의 수에 따라 이 땅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어라.
[54] 백성의 수가 많은 지파가 더 많은 땅을 얻을 것이고, 수가 적은 지파는 그보다 더 작은 땅을 얻을 것이다. 각 지파가 얻는 땅의 크기는 그 백성의 수에 따라 정하여라.
[55] 땅을 나누되 제비를 뽑아서 나누어라. 각 지파가 얻는 땅은 그 지파의 조상의 이름을 따라 물려받게 될 것이다.
[56] 제비를 뽑아 땅을 나누어라. 그래서 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땅을 나누어 주어라.”
레위 지파의 기업(57-62)
[57] 레위 지파도 집안별로 이름을 적었습니다. 레위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게르손에게서 난 게르손 집안, 고핫에게서 난 고핫 집안, 므라리에게서 난 므라리 집안입니다.
[58] 다음도 레위의 집안입니다. 립니 집안, 헤브론 집안, 마흘리 집안, 무시 집안, 고라 집안이니, 고핫은 아므람의 조상입니다.
[59] 아므람의 아내는 이름이 요게벳입니다. 요게벳은 레위 지파 사람입니다. 요게벳은 이집트에서 태어났습니다. 요게벳과 아므람은 두 아들, 곧 아론과 모세와 그들의 누이 미리암을 낳았습니다.
[60] 아론은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을 낳았습니다.
[61] 그러나 나답과 아비후는 여호와께 옳지 않은 불을 바치다가 죽었습니다.
[62] 한 달 이상 된 레위 사람 남자의 수는 모두 이만 삼천 명입니다. 그러나 다른 이스라엘 백성의 수를 셀 때, 레위 사람의 수는 세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땅 가운데서 레위 사람의 몫은 없었기 때문입니다.
출애굽 1세대의 죽음(63-65)
[63] 모세와 제사장 엘르아살은 요단 강가의 모압 평야, 곧 여리고 건너편에서 이스라엘 백성의 수를 세었습니다.
[64] 모세와 제사장 아론은 시내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의 수를 센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모세가 모압 평야에서 백성의 수를 세었을 때는 첫 번째 시내 광야에서 백성의 수를 셀 때 포함되어 있었던 사람이 한 사람도 없었습니다.
[65] 그것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에 관하여 “그들은 광야에서 죽을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오직 남아 있는 사람은 여분네의 아들 갈렙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뿐이었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하나님께서 제비를 통해 기업을 분배하도록 하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2. 출애굽 1세대의 죽음을 통해 주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 본문해설
제비뽑아 기업을 나누라(52-56)
하나님은 지파의 가족대로 계수함을 입은 수를 따라 기업을 나누라고 명령하십니다. 하지만 이 제비뽑기는 각 지파의 영토규모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정착할 가나안 땅의 위치를 정하는 것입니다. 즉, 땅의 넓이는 인구수에 비례해서 주어지지만 가나안에 정착할 위치는 제비를 통해 시비의 요소를 미리 없애려는 것입니다. 사실 각각의 땅은 토질이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것 때문에 지파와 가족간에 마음이 상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하나님은 제비뽑기를 통해 사람들 사이의 갈등과 시비를 줄이고, 모든 것을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맡기도록 하고 있습니다. 나의 삶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기꺼이 순종하는 삶입니까?
레위 지파의 기업(57-62)
레위인들은 여호와의 일을 위해 바쳐진 거룩한 자들입니다(3:11-13).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이스라엘의 계수에 들어가지 않았고, 다른 지파와 달리 가나안에서 기업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레위인들은 가나안이라는 땅 위의 기업이 아닌 하나님의 기업이 된 자들이며, 하나님을 기업으로 삼는 자들이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나답과 아비후의 사건을 다시 언급하고 있는 것은 하나님을 기업으로 삼는 레위인들의 사명이 무엇인지를 알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하나님의 기업된 레위인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사는 백성들인 것입니다. 나는 하나님을 기업으로 삼고 사는 거룩한 백성임을 기억하고 있습니까?
출애굽 1세대의 죽음(63-65)
가데스 바네아에서 하나님의 약속을 믿지 못하고 악평하던 지도자들을 따라 반역했던 모든 출애굽 1세대는 하나님의 말씀대로 다 죽었습니다. 오직 믿음으로 하나님의 약속을 굳게 믿었던 여호수아와 갈렙만 살아남았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반드시 이루어집니다.
▧ 적용
1. 나는 왕같은 제사장으로서 부름받은 특권을 기억하며 살고 있는가?
2. 나는 오늘 하나님께 나의 믿음을 고백하면서 살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나를 거룩한 백성으로 부르신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리면 오직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살게 하소서. 하나님을 나의 기업으로 삼고 그 말씀 앞에 두려워하며 살게 하소서.
제비뽑아 기업을 나누라(52-56)
[52]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셨습니다.
[53] “이름을 적은 백성의 수에 따라 이 땅을 백성에게 나누어 주어라.
[54] 백성의 수가 많은 지파가 더 많은 땅을 얻을 것이고, 수가 적은 지파는 그보다 더 작은 땅을 얻을 것이다. 각 지파가 얻는 땅의 크기는 그 백성의 수에 따라 정하여라.
[55] 땅을 나누되 제비를 뽑아서 나누어라. 각 지파가 얻는 땅은 그 지파의 조상의 이름을 따라 물려받게 될 것이다.
[56] 제비를 뽑아 땅을 나누어라. 그래서 수가 많고 적음에 따라 땅을 나누어 주어라.”
레위 지파의 기업(57-62)
[57] 레위 지파도 집안별로 이름을 적었습니다. 레위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게르손에게서 난 게르손 집안, 고핫에게서 난 고핫 집안, 므라리에게서 난 므라리 집안입니다.
[58] 다음도 레위의 집안입니다. 립니 집안, 헤브론 집안, 마흘리 집안, 무시 집안, 고라 집안이니, 고핫은 아므람의 조상입니다.
[59] 아므람의 아내는 이름이 요게벳입니다. 요게벳은 레위 지파 사람입니다. 요게벳은 이집트에서 태어났습니다. 요게벳과 아므람은 두 아들, 곧 아론과 모세와 그들의 누이 미리암을 낳았습니다.
[60] 아론은 나답과 아비후와 엘르아살과 이다말을 낳았습니다.
[61] 그러나 나답과 아비후는 여호와께 옳지 않은 불을 바치다가 죽었습니다.
[62] 한 달 이상 된 레위 사람 남자의 수는 모두 이만 삼천 명입니다. 그러나 다른 이스라엘 백성의 수를 셀 때, 레위 사람의 수는 세지 않았습니다. 그것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주신 땅 가운데서 레위 사람의 몫은 없었기 때문입니다.
출애굽 1세대의 죽음(63-65)
[63] 모세와 제사장 엘르아살은 요단 강가의 모압 평야, 곧 여리고 건너편에서 이스라엘 백성의 수를 세었습니다.
[64] 모세와 제사장 아론은 시내 광야에서 이스라엘 백성의 수를 센 일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모세가 모압 평야에서 백성의 수를 세었을 때는 첫 번째 시내 광야에서 백성의 수를 셀 때 포함되어 있었던 사람이 한 사람도 없었습니다.
[65] 그것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에 관하여 “그들은 광야에서 죽을 것이다” 하고 말씀하셨기 때문입니다. 오직 남아 있는 사람은 여분네의 아들 갈렙과 눈의 아들 여호수아뿐이었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하나님께서 제비를 통해 기업을 분배하도록 하신 이유가 무엇입니까?
2. 출애굽 1세대의 죽음을 통해 주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 본문해설
제비뽑아 기업을 나누라(52-56)
하나님은 지파의 가족대로 계수함을 입은 수를 따라 기업을 나누라고 명령하십니다. 하지만 이 제비뽑기는 각 지파의 영토규모를 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정착할 가나안 땅의 위치를 정하는 것입니다. 즉, 땅의 넓이는 인구수에 비례해서 주어지지만 가나안에 정착할 위치는 제비를 통해 시비의 요소를 미리 없애려는 것입니다. 사실 각각의 땅은 토질이 좋은 것과 나쁜 것이 있기 마련입니다. 그리고 그러한 것 때문에 지파와 가족간에 마음이 상할 수도 있습니다. 이에 하나님은 제비뽑기를 통해 사람들 사이의 갈등과 시비를 줄이고, 모든 것을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맡기도록 하고 있습니다. 나의 삶은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기꺼이 순종하는 삶입니까?
레위 지파의 기업(57-62)
레위인들은 여호와의 일을 위해 바쳐진 거룩한 자들입니다(3:11-13).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이스라엘의 계수에 들어가지 않았고, 다른 지파와 달리 가나안에서 기업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레위인들은 가나안이라는 땅 위의 기업이 아닌 하나님의 기업이 된 자들이며, 하나님을 기업으로 삼는 자들이기 때문입니다. 특별히 나답과 아비후의 사건을 다시 언급하고 있는 것은 하나님을 기업으로 삼는 레위인들의 사명이 무엇인지를 알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하나님의 기업된 레위인은 오직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사는 백성들인 것입니다. 나는 하나님을 기업으로 삼고 사는 거룩한 백성임을 기억하고 있습니까?
출애굽 1세대의 죽음(63-65)
가데스 바네아에서 하나님의 약속을 믿지 못하고 악평하던 지도자들을 따라 반역했던 모든 출애굽 1세대는 하나님의 말씀대로 다 죽었습니다. 오직 믿음으로 하나님의 약속을 굳게 믿었던 여호수아와 갈렙만 살아남았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은 반드시 이루어집니다.
▧ 적용
1. 나는 왕같은 제사장으로서 부름받은 특권을 기억하며 살고 있는가?
2. 나는 오늘 하나님께 나의 믿음을 고백하면서 살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나를 거룩한 백성으로 부르신 하나님께 감사와 찬양을 드리면 오직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라 살게 하소서. 하나님을 나의 기업으로 삼고 그 말씀 앞에 두려워하며 살게 하소서.
반응형
'구약 >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6/23,일) - 모세의 후계자 여호수아(민 27:12-23) (1) | 2013.06.23 |
---|---|
오늘의 QT(6/21,금) - 슬로브핫 딸들의 요구(민 27:1-11) (4) | 2013.06.21 |
오늘의 QT(6/19,수) - 두 번째 인구조사 Ⅱ(민 26:19-51) (2) | 2013.06.19 |
QT 범위표 - 민수기3, 요나 (0) | 2013.06.18 |
오늘의 QT(6/18,화) - 두 번째 인구조사Ⅰ(민 26:1-18) (2) | 2013.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