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말씀 : 민수기 26:19 - 26:51
계수함을 입은 자의 총 수(19-51)
[19] 유다의 두 아들 에르와 오난은 가나안에서 죽었습니다.
[20] 유다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셀라에게서 난 셀라 집안, 베레스에게서 난 베레스 집안, 세라에게서 난 세라 집안이며,
[21] 또 베레스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헤스론에게서 난 헤스론 집안, 하물에게서 난 하물 집안이니,
[22] 이들이 유다의 집안입니다. 그 수는 모두 칠만 육천오백 명입니다.
[23] 잇사갈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돌라에게서 난 돌라 집안, 부와에게서 난 부니 집안,
[24] 야숩에게서 난 야숩 집안, 시므론에게서 난 시므론 집안이니,
[25] 이들이 잇사갈의 집안입니다. 그 수는 모두 육만 사천삼백 명입니다.
[26] 스불론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세렛에게서 난 세렛 집안, 엘론에게서 난 엘론 집안, 얄르엘에게서 난 얄르엘 집안이니,
[27] 이들이 스불론의 집안입니다. 그 수는 모두 육만 오백 명입니다.
[28] 요셉의 자손은 므낫세 집안과 에브라임 집안으로 다시 나뉩니다.
[29] 므낫세의 집안은 이러합니다. 마길에게서 난 마길 집안이며, 마길은 길르앗의 아버지입니다. 길르앗에게서 난 길르앗 집안이니,
[30] 길르앗의 집안은 이러합니다. 이에셀에게서 난 이에셀 집안, 헬렉에게서 난 헬렉 집안,
[31] 아스리엘에게서 난 아스리엘 집안, 세겜에게서 난 세겜 집안,
[32] 스미다에게서 난 스미다 집안, 헤벨에게서 난 헤벨 집안입니다.
[33] 헤벨의 아들 슬로브핫에게는 아들이 없고, 딸만 있습니다. 그들의 이름은 말라와 노아와 호글라와 밀가와 디르사입니다.
[34] 이들이 므낫세의 집안입니다. 그 수는 모두 오만 이천칠백 명입니다.
[35] 에브라임의 집안은 이러합니다. 수델라에게서 난 수델라 집안, 베겔에게서 난 베겔 집안, 다한에게서 난 다한 집안이며,
[36] 수델라의 자손은 이러합니다. 에란에게서 난 에란 집안이니,
[37] 이들이 에브라임의 집안입니다. 그 수는 모두 삼만 이천오백 명입니다. 이들이 집안별로 본 요셉의 자손입니다.
[38] 베냐민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벨라에게서 난 벨라 집안, 아스벨에게서 난 아스벨 집안, 아히람에게서 난 아히람 집안,
[39] 스부밤에게서 난 스부밤 집안, 후밤에게서 난 후밤 집안이며,
[40] 벨라의 아들은 아릇과 나아만입니다. 아릇에게서 아릇 집안이, 나아만에게서 나아만 집안이 나왔습니다.
[41] 이들이 베냐민의 집안입니다. 그 수는 모두 사만 오천육백 명입니다.
[42] 단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수함에게서 난 수함 집안이니, 이들이 단의 집안입니다.
[43] 수함 집안의 수는 모두 육만 사천사백 명입니다.
[44] 아셀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임나에게서 난 임나 집안, 이스위에게서 난 이스위 집안, 브리아에게서 난 브리아 집안이며,
[45] 브리아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헤벨에게서 난 헤벨 집안, 말기엘에게서 난 말기엘 집안입니다.
[46] 아셀에게는 세라라는 딸도 있습니다.
[47] 이들이 아셀의 집안입니다. 그 수는 모두 오만 삼천사백 명입니다.
[48] 납달리의 자손은 집안별로 이러합니다. 야셀에게서 난 야셀 집안, 구니에게서 난 구니 집안,
[49] 예셀에게서 난 예셀 집안, 실렘에게서 난 실렘 집안이니,
[50] 이들이 납달리의 집안입니다. 그 수는 모두 사만 오천사백 명입니다.
[51] 그리하여 이스라엘 백성의 수는 모두 육십만 천칠백삼십 명입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처음 인구조사와 두 번째 인구조사 후에 총수가 거의 동일한 것을 통해 무엇을 알 수 있습니까?
▧ 본문해설
계수함을 입은 자의 총 수(19-51)
두 번째 인구 조사를 한 결과 이십 세 이상 된 장정들의 총 수는 601,730명이었습니다. 놀라운 것은 이 인구의 합이 처음 시내 산을 떠날 때 조사했던 인구수와 비교해서 1,820명이 부족한 수치라는 것입니다. 이 수치에는 처음 인구조사 때 계수 되었던 사람들은 들어있지 않습니다. 그들은 가데스 바네아에서의 불순종으로 모두 광야 생활 중 죽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스라엘 인구의 변화가 거의 없다는 것은 광야 생활 중 하나님이 베푸신 은혜가 얼마나 크고 놀라운지를 짐작케 합니다. 수많은 사건들이 있었지만, 불평과 불만으로 점철된 광야 생활 가운데서도 여전히 동일하게 은혜를 베푸시는 하나님의 손길이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이렇게 살아가고 있는 것 자체가 곧 하나님의 은혜 때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시므온 지파의 급격한 감소와 달리 유다 지파는 모든 지파보다 단연 많은 76,500명입니다. 이러한 결과는 유다 지파에 대한 야곱의 예언이 성취되었음을 보여줍니다(창 49:9-12). 또한 유다 진 기에 속한 스불론 지파와 잇사갈 지파의 인구도 함께 증가함으로써 유다 지파가 받은 축복을 함께 누리게 되었음을 짐작케 합니다. 하나님의 백성들이 하나님께 복을 받는 것은 단순히 자신에게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를 둘러싸고 있는 모든 자들에게 미칩니다. 우리는 하나님의 축복의 통로입니다. “너는 복의 근원이 될지라”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기억하십시오. 오늘 나의 삶을 통해 나의 가족과 공동체가 하나님의 복을 받고 있는지 생각해보십시오.
▧ 적용
1. 나와 나의 교회는 지역사회에 하나님의 축복을 나누어주는 통로가 되고 있는가?
2. 나 때문에 하나님의 은혜를 받아야 할 사람은 누구인가?
▧ 오늘의 기도
나를 여기까지 인도하신 은혜와 축복의 근원이신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을 돌립니다. 나로 인해 나의 가족과 친지, 친구들, 이웃이 하나님의 복을 받기를 원합니다.
'구약 > 민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 QT(6/21,금) - 슬로브핫 딸들의 요구(민 27:1-11) (4) | 2013.06.21 |
---|---|
오늘의 QT(6/20,일) - 약속의 성취와 땅 분배(민 26:52-65) (2) | 2013.06.20 |
QT 범위표 - 민수기3, 요나 (0) | 2013.06.18 |
오늘의 QT(6/18,화) - 두 번째 인구조사Ⅰ(민 26:1-18) (2) | 2013.06.18 |
오늘의 QT(6/17,월) - 발람의 계책(민 25:1-18) (2) | 2013.06.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