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구약/여호수아

오늘의 QT(4/11,목) - 사명 따라 사는 삶(수 21:1-12)

by ☆★★★ 2013. 4. 11.
반응형

▧ 본문 : 여호수아 21:1-12

레위 지파의 요구(1-3)


[1] <레위 지파를 위한 마을> 레위 지파의 지도자들이 제사장 엘르아살에게 나아가 말했습니다. 그들은 눈의 아들 여호수아와 이스라엘 모든 지파의 지도자들에게도 말했습니다.
[2] 그들은 가나안 땅에 있는 실로 마을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호와께서는 모세를 통해 당신에게 우리가 살 마을을 주라고 명령하셨습니다. 또 여호와께서는 당신더러 우리에게 그 주변의 들도 주라고 명령하셨습니다.”
[3] 이 말을 듣고 이스라엘 사람들은 여호와의 명령에 복종했습니다. 레위 사람들에게 다음과 같은 마을과 그 주변의 들을 주었습니다.

성읍 분배(4-12)

[4] 고핫 후손을 위해 제비를 뽑았는데, 레위 사람 가운데 제사장 아론의 후손에게는 열세 개의 마을이 돌아갔습니다. 그 마을들은 유다와 시므온과 베냐민의 마을에서 떼어 준 것입니다.
[5] 고핫의 다른 후손은 열 개의 마을을 받았는데, 이 열 개의 마을은 제비를 뽑아 에브라임과 단과 므낫세 지파 절반의 마을에서 받은 것입니다.
[6] 게르손 후손의 사람들은 열세 개의 마을을 받았습니다. 그 마을들은 제비를 뽑아 잇사갈과 아셀과 납달리와 바산에 있는 다른 므낫세 지파 절반의 마을에서 받은 것입니다.
[7] 므라리 후손도 열두 개의 마을을 받았는데, 이 열두 개의 마을들은 르우벤과 갓과 스불론의 마을에서 받은 것입니다.
[8] 이처럼 이스라엘 사람들은 레위 사람들에게 마을과 마을 주변의 들을 주었습니다. 그들은 그렇게 함으로써 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주신 명령에 복종했습니다.
[9] 유다와 시므온의 땅에서 레위 사람들이 받은 마을의 이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0] 레위 지파 가운데 고핫 후손의 아론 자손이 첫 번째로 제비를 뽑았는데,
[11] 고핫 후손에게 기럇 아르바, 곧 헤브론과 그 주변의 들을 주었습니다. 그 곳은 유다의 산지에 있습니다. 아르바는 아낙의 조상입니다.
[12] 그러나 기럇 아르바 성 주변의 들과 작은 마을들은 여분네의 아들 갈렙에게 주었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왜 레위 지파의 거주지가 가장 나중에 이루어졌습니까?
2. 레위 지파에게 최소한의 생활 기반만이 주어진 것은 무슨 이유 때문입니까?

▧ 본문해설

레위 지파의 요구(1-3)

기업 분배가 마쳐지고 도피성까지 선정된 시점에서 레위인들이 나아와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지시하신대로(민 35:2) 자신들이 거할 성읍과 가축 먹일 들을 요구합니다. 언뜻 보면 이것은 이스라엘의 기업 분배에서 소외된 레위인들이 자신들의 권리를 요구하는 것처럼 보일지 모릅니다. 하지만 야곱의 예언처럼(창 49:7) 레위인들도 이스라엘 가운데 흩어져 살아야 하므로 이스라엘의 기업 분배가 끝난 후에야 각 지파 가운데서 기업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사실 레위 지파가 이스라엘에 흩어져 살게 된 것은 “디나사건”(창 34:25-30)으로 인한 저주였으나 하나님은 그 저주를 은혜로 바꾸셨습니다. 그들은 이스라엘 전역에 흩어져 살면서 하나님의 말씀과 가르침, 그리고 백성들의 종교생활을 지도하게 된 것입니다. 우리들은 비록 악하나 하나님은 그 악함을 결코 악으로 갚지 않으십니다. 예수님의 가르치심대로 우리가 원수들을 사랑해야만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성읍 분배(4-12)

레위 지파는 그핫, 게르손, 므라리 가족으로 나뉘고, 또 그핫 가족 중에서 아론의 자손들이 제사장직으로 특별히 구별되어 모두 네 가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본문은 이러한 레위 지파의 가족들이 얻은 성읍에 대하여 기록하고 있습니다. 그들이 얻은 성읍은 아론 자손이 열 세 성읍, 남은 그핫 자손이 열 성읍, 게르손 자손이 열 세 성읍, 므라리 자손이 열 성읍을 분배 받았습니다. 특별히 게르손이 맏아들임에도 그핫 가족에 대한 성읍 분배가 먼저 이루어 진 것은 제사장직을 맡은 아론 자손이 그핫 가족에 속해 있었기 때문입니다. 레위지파가 가나안 전역에 흩어져 살게 된 것은 그들의 사명 때문이었습니다. 레위지파는 말씀 양육과 재판을 담당했는데, 그 사명이 그들의 생활방식을 결정지은 것입니다. 이처럼 레위인들에게 최소한의 생존 기반만을 주신 것은 그들이 이 땅의 기업에 의존하는 자들이 아니라 하나님만을 의존해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 하시기 위한 것입니다.

▧ 적용
1. 나는 내게 주신 물질을 다른 사람들을 위해 나누는 삶을 살고 있는가?
2. 나는 하나님께서 맡기신 사명을 온전히 감당하기 위해 하나님이 주신 삶의 방식을 선택하고 있는가?

▧ 오늘의 기도
주님, 이 땅의 헛된 것들에 소망을 두지 말게 하시고, 오직 하나님의 거룩한 뜻을 따라 살아가게 하소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