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말씀 : 요한복음 11:45-57
[45] <예수님을 죽이려는 음모> 마리아에게 조문하러 왔던 유대인들은 예수님께서 하신 일을 보고는 그분을 믿었습니다.
[46] 그러나 그들 중 어떤 유대인들은 바리새인들에게 가서 예수님께서 하신 일을 일러바쳤습니다.
[47] 그러자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은 산헤드린을 열어 의견을 물었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이 사람은 많은 표적을 행하고 있습니다.
[48] 만일 우리가 이 사람이 하는 대로 계속 내버려 둔다면, 모든 사람이 그를 믿을 것입니다. 그러면 로마 사람들이 와서 우리 땅과 민족을 모두 빼앗아 버릴 것입니다.”
[49] 그들 중에 가야바라는 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가야바는 그 해의 대제사장이었습니다. 가야바가 이렇게 말했습니다. “여러분들은 아무것도 모르시는군요.
[50] 민족 전체가 멸망당하는 것보다는 한 사람이 백성을 위하여 죽는 것이 더 낫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십니까?”
[51] 이 말은 가야바가 스스로 한 말이 아니었습니다. 그는 그 해의 대제사장이었으므로, 예수님께서 유대 민족을 위해 죽게 될 것을 예언한 것이었습니다.
[52] 가야바는 예수님께서 유대 민족만이 아니라 사방에 흩어져 있는 하나님의 자녀들을 하나로 만들기 위해 죽으실 것을 예언한 것입니다.
[53] 그 날 이후, 유대의 지도자들은 예수님을 죽일 계획을 세우기 시작했습니다.
[54] 예수님께서는 더 이상 유대인들이 있는 곳에 공공연히 다니지 않으셨습니다. 예수님께서는 그 곳을 떠나 광야 근처에 있는 에브라임이라는 마을로 가서 제자들과 함께 거기서 지내셨습니다.
[55] 유대인의 명절인 유월절이 가까이 다가왔습니다. 유월절이 되기도 전에 많은 사람들이 자신을 깨끗하게 하기 위해 시골에서 예루살렘으로 올라왔습니다.
[56] 사람들은 부지런히 예수님을 찾았습니다. 그들은 성전 뜰에 서서 서로 물었습니다. “당신들 생각은 어떻소? 그분이 명절에 안 오시지는 않겠지요?”
[57] 그러나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은 누구든지 예수님께서 계신 곳을 알기만 하면 반드시 자기들에게 알려야 한다고 명령을 내렸습니다. 그것은 예수님을 체포하기 위해서였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가야바는 어떤 의도를 가지고 이 말(50절)을 하였습니까?
2. 한 사람이 백성을 위하여 죽어서 온 민족이 망하지 않게 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 본문해설
“그리스도를 죽일 계획을 세우기 위하여 소집된 이 회의에는 느부갓네살의 자랑하는 말을 들으시고 벨사살의 우상숭배적인 잔치를 목격하시고 나사렛에서 그리스도께서 친히 자신을 기름부음을 받은 자라고 선언하셨을 때에 참석하셨던 증거자(성령)가 참석하셨다. 이 증거자는 이제 지배자들에게 그들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하여 마음에 감동을 주고 있었다. 그리스도의 생애 가운데서 일어난 사건들이 그들 앞에 분명하게 떠올라서 그들을 경고하였다. 그들은 예수께서 열 두살 난 아이였을 때 성전에서 학식 있는 율법 박사들 앞에 서서 질문함으로 박사들을 놀라게 하였던 장면을 회상하였다. 예수께서 방금 행하신 이적은 그가 다름 아닌 하나님의 아들이라는 것을 증거하였다. 그리스도에 관한 구약 성경의 기록의 참된 의미가 저희 마음에 번개처럼 떠올랐다. 괴로움과 번민에 싸인 관원들은 “우리가 어떻게 하겠느냐” 하고 부르짖었다. 공회에 분열이 생겼다. 성령의 감화 아래에서 제사장들과 관원들은 그들이 하나님에 대항하여 싸우고 있다는 확신을 떨쳐 버릴 수 없었다. 회의가 극도로 어려움에 빠졌을 때에 대제사장 가야바가 일어섰다. 가야바는 거만하고 잔인한 사람이었으며 오만하고 마음이 좁은 사람이었다. 사두개파에 속한 가야바의 가족들은 거만하고 대담하고 무모하고 야망과 잔인함이 가득 찬 죄악들을 거짓된 의의 가면 아래 감추고 있었다. 가야바는 예언들을 연구하였으며 비록 그 예언의 참 뜻을 알지 못하였을지라도 큰 권위와 확신을 가지고 말하였다. “너희가 아무것도 알지 못하는도다 한사람이 백성을 위하여 죽어서 온 민족이 망하지 않게 되는 것이 너희에게 유익한 줄을 생각지 아니하는도다.” 예수가 비록 무죄하다 할지라도 그를 처치해야 한다고 대제사장은 주장하였다. 예수는 백성들을 그에게로 이끌며 지배자들의 권위를 멸시하는 성가신 존재였다. 그런 존재는 예수 밖에는 없었다. 지배자들의 권위가 약화되는 것보다 그가 죽는 편이 나았다. 만일 저희 지배자들이 백성의 신임을 잃게 되면 국가의 세력이 훼손될 것이다. 가야바는 이 이적 후에는 예수를 따르는 자들이 폭동을 일으키기 쉬울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그 때에는 로마인들이 와서 성전문을 폐쇄하고 율법을 폐지하고 우리 민족을 멸망시킬 것이라고 그는 말하였다. 이 갈릴리 사람의 생명을 민족의 생명과 비교할 때 얼마의 가치가 있는가? 그가 이스라엘의 복리를 방해한다면 그를 제거하는 것이 하나님께 봉사하는 일이 아닌가? 온 민족의 망함보다 한 사람의 죽음이 더 좋다. 민족을 위하여 한 사람이 죽어야 된다고 선언함에 있어서 가야바는 비록 매우 제한된 지식이었지만 그가 예언들에 관한 다소의 지식이 있음을 표명하였다. 그러나 요한은 이 장면을 설명하면서 예언을 들어 이 예언의 넓고 깊은 뜻을 나타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또 그 민족만 위할 뿐 아니라 흩어진 하나님의 자녀들을 모아 하나가 되게 하기 위하여 죽으실 것을 미리 말함이더라.”(소망 539-540)
▨ 기도
1. 나의 마음속에서 시기와 질투, 그리고 악한 생각을 제거하시고 진리를 깨닫게 하소서
2. 온 세상 사람들이 예수님만이 참된 소망이요 생명이심을 깨닫게 하소서.
'신약 > 요한복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교교과 QT(12/23,일) - 13과 연합의 최종적인 회복(요 14:1-7) (0) | 2018.12.23 |
---|---|
안교교과 QT(11/23,금) - 더 깊은 연구를 위해(요 11:7-16) (0) | 2018.11.23 |
안교교과 QT(11/8,목) - 양과 목자(요 10:1-12) (0) | 2018.11.08 |
안교교과 QT(10/19,금) - 더 깊은 연구를 위해(요 5:19-23) (0) | 2018.10.19 |
안교교과 QT(10/18,목) - 사랑으로 하나 된 믿음(요 13:31-38) (0) | 2018.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