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늘의 QT

안교교과 QT(2/11,일) - 7과 하나님께 정직함(레 27:26-34)

by ☆★★★ 2018. 2. 11.
반응형

2018-1 장년교과 7과.pdf

▧ 오늘의 말씀 : 레위기 27:26-34

첫 것과 헌물(26-29)

[26] <짐승의 첫새끼> 첫새끼는 따로 바치지 않더라도 여호와의 것이므로, 짐승의 첫새끼를 거룩히 구별하여 바칠 수는 없다. 소든 양이든 첫새끼는 여호와의 것이다.
[27] 만약 바치려 하는 것이 부정한 짐승이면, 바치려는 사람은 그것을 제사장이 정한 값에 오분의 일을 더해서 다시 살 수 있다. 만약 그가 짐승을 다시 사지 않으면, 제사장은 자기가 정한 값으로 그것을 팔아라.
[28] 백성이 여호와께 바치는 예물 가운데에는 특별한 것이 있다. 그것은 사람이 될 수도 있고, 짐승이 될 수도 있고, 가족의 재산 가운데서 밭이 될 수도 있다. 그런 예물은 다시 사거나 팔 수 없다. 그것은 여호와께 지극히 거룩한 것이다.
[29] 여호와께 바친 사람은 다시 살 수 없으니 그런 사람은 죽여라.

십일조 규례(30-34)

[30] 모든 작물의 십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이다. 밭의 작물이든 나무의 열매이든 마찬가지이다. 그것의 십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이다.
[31] 그 십분의 일을 되돌려 받으려면, 그 값에 오분의 일을 더하고 다시 사라.
[32] 소 떼와 양 떼의 십분의 일은 여호와의 것이다. 목자의 지팡이 아래로 짐승을 지나가게 하여 열 번째에 해당되는 것은 여호와의 거룩한 짐승이 될 것이다.
[33] 소 떼나 양 떼의 주인은 나쁜 것 가운데서 좋은 것을 가려 내지 마라. 짐승끼리 서로 바꿔치기 하지 마라. 만약 바꿔치기를 하면, 두 짐승 모두 다 거룩하게 되어 그 짐승들은 다시 살 수 없게 된다.”
[34] 이것은 여호와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위해 시내 산에서 모세에게 명령하신 말씀입니다.

▧ 본문해설

첫 것과 헌물(26-29)

성도는 하나님께 가장 소중한 것, 최상의 것을 예물로 드려야 합니다. 모든 가축의 처음 난 것은 여호와께 드려야 합니다. 출애굽 당시 하나님이 이스라엘의 모든 처음 난 것을 죽음에서 구원하셨기 때문입니다. 부정한 짐승의 첫 새끼는 제사장이 정한 값에 5분의 1을 더해 속하거나 그 짐승을 판 금액을 여호와께 드려야 합니다. ‘오직 여호와께 온전히 바친 모든 것’(28절)이란 하나님이 진멸하기로 작정하신 것으로, 주로 우상숭배자나 신성모독자 또는 이방 적군의 소유물 등입니다. 이러한 저주받은 물건은 팔거나 무르거나 취소할 수 없으며, 오직 하나님의 공의를 만족시키기 위해 반드시 없애 버리거나 죽여야 합니다. 성도는 항상 하나님이 정하신 방식과 그분이 기뻐하시는 뜻을 따라 모든 것을 드리며 헌신하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십일조 규례(30-34)

십일조는 우리에게 주신 모든 소유가 하나님의 것임을 시인하고 고백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에게 소산의 10분의 1은 여호와의 것이며, 여호와의 성물이라고 규정하십니다. 만일 십일조를 무르려면 그것에 5분의 1을 더해서 바쳐야 합니다. 모든 소나 양은 목자의 지팡이 아래로 통과하는 것의 열 번째 것을 하나님께 십일조로 드려야 합니다. 이때 열 번째 짐승이 좋든지 나쁘든지 다른 짐승으로 바꿀 수 없습니다. 만약 다른 짐승으로 바꿀 경우에는 둘 다 거룩한 것이 되어, 새로운 짐승은 여호와께 제물로 드리고 원래 것은 제사장의 몫이 됩니다. 이러한 십일조의 정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합니다. 성도는 모든 소유의 주인 되시는 하나님께 온전한 십일조를 드려야 합니다.  
 
 
▧ 적용을 위한 질문

1. 서원을 지킬 때 하나님이 기뻐하시는 방식을 따릅니까?

2. 온전한 십일조를 드리기 위해 무엇을 포기하겠습니까?
  
 
▧ 오늘의 기도

수입에서 하나님의 몫을 가장 먼저 떼어 드리며, 하나님이 제 삶의 가장 중요한 분임을 고백하게 하소서. 한 해 동안 주님께 받은 복을 헤아려 보며 최상의 것으로 감사하게 하소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