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4-장년교과-13과.pdf
▨ 오늘의 말씀 : 로마서 14:13-23
서로 판단하지 말라(13-23)
[13] <형제를 넘어지게 하지 마라> 그런즉 다른 사람에 대해 심판하지 맙시다. 우리가 더욱 힘쓸 것은 형제의 길에 그를 넘어지게 하는 것이나 장애물을 놓지 않겠다고 결심하는 일입니다.
[14] 내가 주 예수님 안에 있는 사람으로서 확신하기로는, 그 자체로 부정한 음식은 하나도 없습니다. 어떤 음식이 부정하다고 믿는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에게는 그 음식이 부정한 것입니다.
[15] 음식 문제로 여러분의 형제가 상처를 받았다면, 여러분은 사랑으로 행동한 것이 아닙니다. 그리스도께서 대신해서 죽으신 그 형제를 음식 문제로 망하게 하지 마십시오.
[16] 그러므로 여러분이 옳다고 생각해서 하는 것이 오히려 비난의 대상이 되지 않게 하십시오.
[17] 하나님의 나라는 먹는 일이나 마시는 일이 아니라, 성령 안에서 누리는 의와 평강과 기쁨입니다.
[18] 이런 마음으로 그리스도를 섬기는 사람은 하나님을 기쁘시게 하고 사람들에게도 인정을 받습니다.
[19] 그러므로 우리 모두 화평함을 이루는 일과 서로 덕을 세우는 일에 힘씁시다.
[20] 음식 문제로 하나님의 일을 무너뜨리지 않도록 합시다. 음식은 다 깨끗한 것이지만, 어떤 음식을 먹은 것이 다른 사람을 넘어지게 한다면 그것을 먹는 것은 그 사람에게 좋지 못한 것입니다.
[21] 고기를 먹는다거나, 술을 마신다거나 그 밖에 여러분의 형제를 넘어지게 하는 일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22] 여러분에게 어떤 신념이 있다면 그것은 여러분과 하나님 사이의 일로만 간직해 두십시오. 스스로 옳다고 믿는 일을 할 때, 자신을 정죄하지 않는 사람은 복 있는 사람입니다.
[23] 그러나 의심을 하면서 먹는 사람은 정죄를 받은 것입니다. 그것은 믿음에서 나온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믿음에서 나오지 않은 것은 다 죄입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그리스도께서 대신하여 죽으신 형제는 누구를 가리킵니까?
2. 하나님 나라의 본질이 무엇입니까?
▨ 본문해설
서로 판단하지 말라(13-23)
우리는 서로 판단하지 말아야 합니다. 고기를 먹어야 할 것인가 말아야 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서로 비판하고 정죄하는 것은 결코 주님의 뜻이 아닙니다. 어떤 사람은 복음을 믿고 고기를 마음대로 먹을 수 있는가 하면, 어떤 사람은 주님을 위함으로 고기를 먹지 않기도 합니다. 식물 자체가 거룩하거나 속된 것이 아니라, 믿음이 약한 자가 양심으로 그것이 속되다고 하면 그 식물보다도 그것을 속되다 하는 그 사람이 속된 것입니다. 이와 같이 바울은 믿음이 강한 자가 믿음이 약한 자를 좀 더 이해하라고 말합니다. 만일 믿음이 강한 자가 자기는 자유하다고 하여 마음대로 믿음이 약한 자들 앞에 먹고 마신다면 그것 때문에 형제를 근심되게 하며, 그리스도께서 위하여 죽으신 형제를 실망하게 합니다. 결국 이것은 믿음으로 인한 자유는 있지만 사랑이 없는 행동이고, 그리스도를 위하는 행동이 아닙니다. 이와 같이 믿음이 강한 자의 선한 것(믿음 안에서 자유하는 것)이 믿음이 약한 자를 상하게 함으로 비방받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하나님 나라의 본질은 무엇을 먹을 수 있느냐 없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오직 성령 안에서 성도들이 서로 의와 화평과 희락을 이루는 일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공동체 안에서 서로 화평을 이루고, 덕을 세우는 일에 힘써야 합니다. 우리가 비록 자유하지만 믿음이 약한 자를 생각하여 고기도 먹지 않고 포도주도 마시지 아니하여 형제의 마음에 상처를 주지 않는다면 그것이 아름다운 일입니다. 바울은 고린도 교회에서도 우상에게 바쳐졌던 제물을 그가 먹을 수 있는 자유가 있지만, 믿음이 약한 형제들 때문에 평생 먹지 않겠다고 했습니다(고전 8:4-13). 이상의 사실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인의 삶의 두 가지 중요한 원리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하나는 믿음의 양심입니다. 믿음의 양심은 강한 면과 약한 면의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믿음으로 인한 양심을 남들에게 강요할 필요가 없습니다. 중요한 것은 하나님께서 자신에게 주신 믿음의 분량대로, 또는 양심대로 행동해야 합니다. 만일 믿음이 약한 자가 무조건 강한 자의 본을 따라 자신의 믿음과 양심에 거리끼면서까지 행동한다면 그것이 죄가 됩니다. 둘째는 공동체적 사랑과 유익입니다. 우리가 아무리 믿음(양심)으로 인해 마음대로 할 수 있어도 그것이 다른 사람들에게 거리끼는 일이라면, 우리는 사랑을 인하여 자제해야 합니다. 자유보다 중요한 것은 사랑입니다.
▨ 적용
내 믿음의 표준대로 다른 사람들을 판단하여 비판하는 일은 진정한 그리스도인의 태도가 아니다. 서로를 사랑하며, 상대방을 존중하는 마음을 갖자.
▨ 기도
나의 신앙의 자유로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주시고, 신앙 공동체의 유익을 위해서 진정한 화평과 희락이 있도록 노력하게 하소서.
'오늘의 Q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교교과 QT(12/27,수) - 책임지는 믿음의 소유자(롬 15:1-13) (0) | 2017.12.27 |
---|---|
안교교과 QT(12/16,화) - 사랑으로 형제를 대하라(고전 8:1-13) (0) | 2017.12.26 |
안교교과 QT(12/24,일) - 13과 그리스도인의 삶(롬 14:1-12) (0) | 2017.12.24 |
안교교과 QT(마 25:31-46) - 양과 염소의 비유(마 25:31-46) (0) | 2017.12.22 |
안교교과 QT(12/21,목) - 사랑은 율법의 완성임(롬 13:8-14) (0) | 2017.1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