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2-장년교과-4과.pdf
▧ 오늘의 말씀 : 갈라디아서 3:19-29
율법의 기능과 목적(19-22)
[19] 그렇다면 율법은 무엇을 위해 있습니까? 율법을 사람에게 주신 것은 하나님께서 약속하신 아브라함의 특별한 자손이 오실 때까지 죄가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해서입니다. 율법은 하나님께서 중보자(중개자)의 손을 빌어 천사들을 시켜 만든 것입니다. [20] 그러나 한 편만 있을 때에는 중개자가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한 분이십니다. [21] <모세 율법의 목적> 그렇다면 율법은 하나님의 약속과 반대 되는 것입니까? 그럴 수 없습니다. 만약 사람에게 생명을 주는 율법이 있었다면, 우리는 그 율법을 지킴으로써 의롭다 함을 얻었을 것입니다. [22] 성경은 온 세상이 죄에 갇혀 있다는 것을 보여 주었습니다. 이는 믿음을 통한약속을 주시기 위한 것으로 오직 예수 그리스도를 믿는 사람들만 받을 수 있습니다.
몽학선생으로서의 율법(23-25)
[23] 이 믿음이 오기 전에는, 우리가 율법에 갇혀 있었습니다. 하나님께서 장차 올 믿음의 길을 보여 주실 때까지 우리에게는 자유가 없었습니다. [24] 그리스도께서 오시기 전까지는 율법이 우리의 선생이었습니다. 그러나 그리스도께서 오신 뒤에는 우리가 믿음으로 인해 의롭다 함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25] 이제 믿음의 길이 나타났으므로, 다시는 우리가 율법에 갇혀 있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의 아들(26-29)
[26]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를 믿는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자녀가 되었습니다. [27] 여러분은 모두 침례를 받아 그리스도와 연합하였으며, 그리스도로 옷을 삼아 입었습니다. [28] 그리스도 안에서는 유대인이나 그리스 인이나 종이나 자유인이나 남자나 여자나 차별이 없습니다. 여러분은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모두 하나입니다. [29] 여러분은 그리스도에게 속한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아브라함의 자손입니다. 하나님께서 아브라함에게 하신 약속대로 여러분은 하나님께서 주시는 모든 복을 받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바울은 율법의 기능과 목적을 어떻게 설명하고 있습니까?
2. 몽학선생으로서의 율법의 기능은 무엇입니까?
3.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얻게 된 새로운 관계는 무엇입니까?
▧ 본문해설
율법의 기능과 목적(19-22)
바울은 율법주의도 배격하고 율법 폐기도 배격하는 것입니다. 그는 ‘그러면 율법이 무엇이냐? 율법이 약속을 대적하느냐?’고 묻는 이들에게 결코 그렇지 않다고 말하면서 율법의 기능과 목적에 대해 설명합니다. 율법은 범죄 때문에 중개자를 통해 더해진 것으로 한시적입니다. 그것은 죄를 깨닫게 하고 정죄하는 기능을 가지는 한편, 반대로 약속과 은혜를 바라보게도 합니다. 율법은 마치 거울과 같은 역할을 합니다. 거울은 우리의 모습 그대로를 보여주어 만일 더러운 것이 묻었을 때는 그것을 알게 해주는 것입니다. 그러나 거울은 보여주기만 하지 우리의 더러운 것을 씻어주지는 못합니다. 우리는 율법을 통해서 우리가 죄인임을 깨닫게 되고, 하나님의 은혜가 필요한 존재임을 알게 하여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 앞에 나아가고자 하는 갈망을 갖게 해줍니다. 결국 우리를 하나님 앞에 인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입니다. 우리가 하나님 앞에 나아가 하나님의 자녀로 회복될 때, 모든 약속은 우리의 것이 되는 것입니다.
몽학선생으로서의 율법(23-25)
율법은 몽학선생입니다. 몽학선생은 "가정교사", "후견인"으로서 문자적으로 "어린 아이들의 인도자"입니다. 사람들은 믿음이 오기 전까지 율법 아래 매여 있었습니다. 그러나 믿음이 온 이후로 율법은 더 이상 사람들을 그 아래 매어 놓을 수 없게 되었습니다. 이제 우리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몽학선생이었던 율법 아래에서 벗어나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의롭다 함을 얻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율법의 목적은 우리를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하는 것입니다.
"율법을 범하는 생애 가운데는 안전함이 없고 평안과 정당성이 없다. 인간이 죄를 계속해서 짓고 있으면서 하나님 앞에 무죄한 자로 서기를 바랄 수 없으며 그리스도의 공로를 통하여 하나님과 화평할 수도 없다. 그는 범죄하는 생애를 그쳐야 하며 충성되고 진실하게 되어야 한다. 죄인이 도덕을 투영(投影) 시키는 큰 거울을 바라볼 때 그는 자기 품성의 결함들을 발견하게 된다. 그는 흠과 점이 많으며 더럽고 정죄를 받은 자기 자신의 참 모습을 보게 된다. 그러나 그는 율법이 어떤 방법으로도 죄를 벗게 할 수도 없고 범죄자를 용서해 줄 수도 없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죄인에게는 율법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 율법은 죄인을 그리스도에게로 인도해 주는 학교 교사다. 죄인은 죄를 담당하신 구세주를 바라보아야 한다. 갈바리의 십자가에 달리셔서 모든 세상 사람들의 무거운 죄에 눌려 죽어가는 그리스도께서 죄인에게 나타나 보이실 때에 성령께서는 죄를 회개하는 모든 영혼들에게 하나님의 태도를 보여 주신다"(1기별, 213).
하나님의 아들(26-29)
"계급 제도는 하나님께서 미워하신다. 하나님께서는 이런 성질의 것은 어떤 것이나 다 무시하신다. 하나님께서 보실 때 모든 사람의 영혼은 동등한 가치가 있다. 그분께서는 “인류의 모든 족속을 한 혈통으로 만드사 온 땅에 거하게 하시고 저희의 연대를 정하시며 거주의 경계를 한하셨으니 이는 사람으로 혹 더듬어 찾아 발견하게 하려 하심이로되 그는 우리 각 사람에게서 멀리 떠나 계시지 아니하”신다. 연령, 계급, 국적 혹은 종교적 특권의 차별 없이 모든 사람은 그분께 나아가 생명을 얻으라는 초청을 받고 있다. “누구든지 저를 믿는 자는 부끄러움을 당하지 아니하리라 하니…차별이 없음이라”, “유대인이나 헬라인이나 종이나 자주자나 없이…다 하나이니라”, “빈부가 섞여 살거니와 무릇 그들을 지으신 이는 여호와시니라”, “한 주께서 모든 사람의 주가 되사 저를 부르는 모든 사람에게 부요하시도다 누구든지 주의 이름을 부르는 자는 구원을 얻으리라”(행 17:26, 27; 갈 3:28; 잠 22:2; 롬 10:11~13) (소망, 403).
우리는 믿음으로 말미암아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아들이 되었습니다. 누구든지 그리스도와 합하여 침례를 받는 자는 그리스도로 옷 입고 그분과 하나가 됩니다. 여기에는 혈육이나 인종, 신분, 성 등의 차별이 없습니다. 그리스도께 속한 자는 모두 아브라함의 자손으로 약속대로 유업을 이을 자가 됩니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우리는 완전히 새로운 관계에 들어서게 되었습니다. 곧 전에는 ‘율법과 죄 아래에서’ 하나님의 정죄의 대상이었지만, 이제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나님의 아들이 된 것입니다. 이러한 관계의 변화는 당연히 하나님과 세상에 대한 우리의 태도와 삶을 변화시킵니다.
▧ 적용
1. 나는 율법의 기능과 목적을 확실하게 깨닫고 있는가?
2. 오직 그리스도를 바라보고, 그 분안에서 참 자유를 누리자.
3. 모든 사람들이 그리스도 안에서 한 가족이 되었으니 차별없이 모든 사람들을 사랑하자.
▧ 오늘의 기도
율법의 올바른 이해를 가지고 언제나 하나님의 은혜 안에 거하며 겸손하고 오직 주님만을 의지하는 삶을 살게 하소서. 하나님의 은혜와 약속 안에서 기뻐하는 삶을 살게 하소서.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