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의 말씀 : 삿 21:1-12
통곡하는 이스라엘(1-7)
[1] <베냐민 사람들을 위해 아내를 얻어 줌> 이스라엘 사람들은 전에 미스바에 모였을 때, “누구든지 베냐민 지파의 남자에게 자기 딸을 시집 보내지 말자”고 맹세했었습니다.
[2] 이스라엘 백성은 벧엘 성으로 가서, 하나님 앞에 앉아 저녁 때까지 큰 소리로 울었습니다.
[3] 그들이 말했습니다. “여호와여! 이스라엘의 하나님이시여! 어찌하여 이스라엘 안에서 이런 끔찍한 일이 일어났습니까? 왜 이스라엘의 한 지파가 없어지게 되었습니까?”
[4] 이튿날, 이스라엘 백성은 일찍이 제단을 쌓고 태워 드리는 제물인 번제물과 화목 제물을 하나님께 바쳤습니다.
[5] 그후, 이스라엘 사람들이 서로 물었습니다. “이스라엘 지파 중에 여호와 앞에 모이지 않은 지파가 누구인가?” 이는 예전에 이스라엘 백성 중 미스바에 모이지 않는 사람은 죽이기로 맹세했기 때문이었습니다.
[6] 이스라엘 사람들은 자기 친척인 베냐민 사람들 때문에 마음이 아파서 말했습니다. “오늘날, 이스라엘에서 한 지파가 끊어져 버렸다.
[7] 우리는 여호와 앞에서 우리 딸을 베냐민 사람과 결혼시키지 않겠다고 맹세하였다. 어떻게 하면 그 남은 베냐민 사람들에게 아내를 얻게 할 수 있을까?”
또 다른 전쟁(8-12)
[8]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이 물었습니다. “이스라엘 지파 가운데 이 곳 미스바로 모이지 않은 지파는 어느 지파인가?” 그들은 길르앗의 야베스 성에 사는 사람이 하나도 오지 않았다는 것을 알아 냈습니다.
[9] 이스라엘 백성이 모든 사람을 다 세어 보았지만, 길르앗의 야베스에서 온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습니다.
[10]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은 길르앗의 야베스에 용사 만 이천 명을 보내면서, 그 용사들에게 야베스 사람들을 칼로 죽이라고 말했습니다. 여자와 어린아이들도 죽이라고 말했습니다.
[11] “여러분은 이렇게 하시오. 길르앗 땅 야베스에 있는 모든 사람을 죽이시오. 남자와 함께 잔 적이 있는 여자도 다 죽이시오.”
[12] 그 용사들은 길르앗의 야베스에서 남자와 함께 잔 적이 없는 젊은 여자 사백 명을 찾아 냈습니다. 용사들은 이 여자들을 가나안 땅 실로의 진으로 데리고 왔습니다.”
▧ 묵상을 위한 질문
1. 이스라엘은 무엇 때문에 통곡하였습니까?
2. 이 슬픔 가운데 또 다른 비극은 무엇이었습니까?
▧ 본문해설
통곡하는 이스라엘(1-7)
이스라엘은 미스바에 모였을 때에 자신들의 딸을 베냐민 지파에게 주지 않기로 서원했었습니다. 동족끼리 그토록 철저히 저주하면서까지 대적하게 된 상황은 우상 숭배와 음란으로부터 시작되었다는 사실을 주목해야 합니다. 성경은 그들의 문제가 하나님의 대리자로서 그들을 지도하고 인도할 왕이 없었기 때문임을 강조합니다(17:6, 19:1, 21:25). 동족상잔이 끝나고 이스라엘 백성이 벧엘에 이르러 하나님 앞에 섰을 때 그들의 마음에는 비로소 비통함이 밀려듭니다. 그들은 대를 잇지 못해 베냐민 지파가 완전히 끊어져 버리는 것에 대해 크게 염려합니다. 멸망이 임박한 한 지파를 보며 이스라엘의 선민 정체성에 다가오는 위기를 느꼈기 때문입니다. 그들의 대성통곡은 모순의 삶을 살아가는 성도의 현주소이며, 그것을 바라보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생각하게 합니다.
또 다른 전쟁(8-12)
이스라엘은 자신들의 딸을 베냐민 지파에 주지 않겠다고 한 서원을 어기지 않으면서, 그들에게 자식을 낳을 수 있는 여인을 공급할 궁리를 합니다. 이렇게까지 베냐민 지파의 멸망을 염려하는 데는 이유가 있습니다. 하나님이 친히 나누어 주신 기업 중 하나가 사라지는 것은 언약의 백성이라는 이스라엘 모든 족속도 그런 결과를 맞을 수 있다는 것을 예고하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전쟁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베냐민 지파에 딸을 주지 않겠다는 맹세에서는 자유하지만, 전쟁에 참여하지 않으면 죽이기로 했던 맹세에서는 자유하지 못한(21:5) 야베스 길르앗인들을 죽이고 그 종족의 처녀들을 베냐민 지파에 주기 위해 또다시 전쟁을 치릅니다. 이것이 문제를 폭력으로밖에 풀지 못하는 사사 시대의 현실입니다.
▧ 적용
1. 성도들 간에 서로 고통을 주는 일이 일어나는 것은 무엇 때문이며 그것이 초래하는 결과는 무엇입니까?
2. 은혜가 사라진 이스라엘은 제 멋대로 문제를 해결하려 합니다. 문제를 해결하는 나의 기준은 무엇입니까?
▧ 기도
성급한 결정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지혜와 능력을 허락하여 주소서
'구약 > 사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사기 QT범위표 (0) | 2016.07.23 |
---|---|
오늘의 QT - 왕이 없으므로 혼돈된 나라(삿 21:13-25) (0) | 2016.07.22 |
오늘의 QT - 악을 멸하시는 하나님(삿 20:36-48) (0) | 2016.07.20 |
오늘의 QT - 승리의 비결(삿 20:24-35) (0) | 2016.07.19 |
오늘의 QT - 혼돈 속에 빠진 신앙(삿 20:12-23) (0) | 2016.07.18 |
댓글